서울시간호사회 김소선 회장 "싸울 때 아니다"
최근 의정 합의로 PA(Physician assistant, 의사 보조인력)제도 합법화가 중단되면서 간협과 대전협이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 서울시간호사회 김소선 회장이 이를 비판하고 나서 주목된다.
우리나라 병원계의 특성을 고려해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 시점에 이러한 논란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김소선 회장은 7일 "대형병원들의 경우 대다수 100명이 넘는 PA가 근무중인 상황"이라며 "이들이 없으면 당장 병원 업무가 마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특히 전공의들의 근무시간을 줄이자고 하면서 PA를 막겠다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일"이라고 꼬집었다.
김 회장은 지금의 논란이 결국 PA간호사들의 역할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대다수 병원에서 PA제도가 제각각으로 운영되다 보니 반감만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소선 회장은 "우리병원만 해도 PA들의 역할이 각 임상과마다 천차만별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러한 혼란속에서 전공의들의 업무와 간호사들의 업무가 겹쳐지면서 마찰이 일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결국 PA들의 역할을 명확히 정리하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일 뿐"이라며 "전공의 업무와 PA업무를 명확히 구분하고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그는 전국적으로 대학병원에서 PA가 맡고 있는 역할을 꼼꼼히 분석하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이들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PA간호사라는 명칭만으로 갈등을 빚을 것이 아니라 큰 틀에서 제대로된 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기초 작업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김 회장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에 PA들의 역할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며 "하지만 이를 직접적으로 연관시켜 문제를 풀고자 하면 영원히 미궁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이미 전문간호사가 제도권 내에 들어와 있는 만큼 전문간호사를 활용해 PA가 하고 있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면 의외로 쉽게 문제가 풀릴 수 있을 것"이라며 "복지부와 의협, 병협, 간협, 대전협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현실적인 문제부터 차근차근 풀어야할 문제"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병원계의 특성을 고려해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 시점에 이러한 논란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김소선 회장은 7일 "대형병원들의 경우 대다수 100명이 넘는 PA가 근무중인 상황"이라며 "이들이 없으면 당장 병원 업무가 마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특히 전공의들의 근무시간을 줄이자고 하면서 PA를 막겠다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일"이라고 꼬집었다.
김 회장은 지금의 논란이 결국 PA간호사들의 역할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대다수 병원에서 PA제도가 제각각으로 운영되다 보니 반감만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소선 회장은 "우리병원만 해도 PA들의 역할이 각 임상과마다 천차만별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러한 혼란속에서 전공의들의 업무와 간호사들의 업무가 겹쳐지면서 마찰이 일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결국 PA들의 역할을 명확히 정리하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일 뿐"이라며 "전공의 업무와 PA업무를 명확히 구분하고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그는 전국적으로 대학병원에서 PA가 맡고 있는 역할을 꼼꼼히 분석하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이들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PA간호사라는 명칭만으로 갈등을 빚을 것이 아니라 큰 틀에서 제대로된 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기초 작업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김 회장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에 PA들의 역할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며 "하지만 이를 직접적으로 연관시켜 문제를 풀고자 하면 영원히 미궁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이미 전문간호사가 제도권 내에 들어와 있는 만큼 전문간호사를 활용해 PA가 하고 있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면 의외로 쉽게 문제가 풀릴 수 있을 것"이라며 "복지부와 의협, 병협, 간협, 대전협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현실적인 문제부터 차근차근 풀어야할 문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