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청수 교수팀, 유럽비뇨기학회 발표 "맞춤형 수술 계획 수립"

서울아산병원 김청수, 김남국, 경윤수 교수팀은 최근 신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3D 프린터를 활용한 신장 및 암 조직 형태를 재현해 수술계획을 세워 신장 부분절제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지난 24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비뇨기학회에서 발표됐다.
기존 CT 등 2차원 이미지를 통한 신장 부분절제술은 신장암과 신장 내부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고 수술범위를 예측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연구팀은 서울아산병원이 개발한 3D 모델 툴(A-view software)를 통해 3차원 신장 모형을 만들었다.
환자와 보호자도 몸속에 있는 장기를 그대로 재현한 모형을 보며 수술 설명을 쉽게 이해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3D 프린터를 이용해 환자 맞춤형 장기를 출력해 상세한 수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유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윤수 교수(건강의학과)는 "형태와 재질, 색감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하고 정교한 3D 프린터 모형을 개발해 신장암 뿐 아니라 선천성 비뇨기 질환 치료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은 고난도 신장암을 비롯해 자궁경부암, 폐종양, 만성폐쇄성폐질환, 심장 판막 재건술 등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장기 모형을 제작해 수술 전 시뮬레이션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