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요클리닉과 공동개발 모델 보완 "간세포암 생존 예측 기대"

이번 모델은 남병호 교수와 서울대 정숙향 교수 등이 공동개발한 것으로 국립암센터가 미국 메이요클리닉과 공동 개발했던 간세포암종 예후 예측 모델인 메시아(MESIAH)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것이다.
이 모델은 간세포암종 환자를 처음 진단할 때 몇 가지 위험요인 정보(연령, 간 기능, 종양의 개수와 크기, 혈관침습과 전이 여부, 알파태아단백 수치, 병인 등)를 입력하면 환자의 1년에서 5년까지의 생존율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로 환자를 보는 임상의가 치료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박중원 박사는 "예후 예측 모델은 마치 일기예보에서 내일 비 올 확률을 예상해 일상생활을 준비하는 것과 유사하다"면서 "간세포암종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한다는 전제하에 더욱 우수한 예측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 저명 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최근 호(지난해 10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