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기술교육연구원, 30일 ‘3D 프린팅 적용기술·활용방안 세미나
3D 프린팅은 3차원 설계를 바탕으로 재료를 자르고 깎거나 적층하는 등의 방식으로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내는 기술.
이중에서도 최근 다양한 소재 개발로 의료산업분야 패러다임을 바꿀 의료용 3D 프린팅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박희정)은 오는 3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로즈홀에서 ‘첨단 의료산업을 위한 3D 프린팅 적용기술 및 활용방안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 분야 기술적·사업적 노하우를 공유한다.
세미나에서는 ▲3D 프린팅 기술기반 멀티스케일 구조물 제작 및 생체의료분야 적용방안’(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석희 박사)을 시작으로 ▲세포 적재 하이브리드 구조의 바이오 3D 프린팅 개발과 적용방안(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최재순 교수) ▲첨단 의료기기 개발·허가를 위한 3D프린팅 가이드라인 및 분야별 적용방안(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일형 박사)이 발표된다.
이어 ▲조직 재생을 위한 바이오 인공 지지체(스케폴드) 제작과 적용기술(한국기계연구원 박수아 박사) ▲금속 3D 프린팅을 이용한 정형외과 분야 활용방안과 기계적 특성 평가 기술(건양대학교 김정성 교수)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치과분야 적용기술과 상용화 방안(서울대 치과병원 박지만 교수) ▲저비용의 경량화된 3D 프린팅 전자의수 제작기 및 상용화 방안(만드로 이상호 대표)이 소개돼 최신 3D 프린팅 기술과 산업적 활용방안에 대한 전방위적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의료용 3D 프링팅 관련 국내외 핵심 업체 및 주도적 병원의 기술 이슈와 적용사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향후 시장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3D 프린팅 분야 기술적·사업적 노하우를 공유하는 동시에 의료용 3D 프린터, 바이오 인공장기 및 생체재료 관련업계 종사자 등에게 수준 높은 최신 기술정보는 물론 미래 비즈니스 기회 선점이 가능한 시장정보까지 제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의료산업분야에서 3D 프린팅은 병원 수술에 필요한 환자맞춤형 수술용 가이드나 임플란트 제조 등에 도입돼 활용되고 있다.
또 의수·의족과 같이 비교적 제작이 단순한 신체부위를 만들기 위해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사례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와이어나 유압·공기압 등으로 관절 마디마디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고가의 의수·의족도 제작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 세포조직을 프린트하는 기술 분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3D 프린터로 제작한 조직은 환자 자신의 몸에서 채취한 세포 조직을 체외에서 배양해 프린트 하는 것으로 타인의 장기이식 시 발생되는 면역억제제 복용과 거부반응 등의 위험 없는 이식이 가능해졌다.
특히 시장조사업체 ID테크엑스에 따르면, 의료용 3D 프린팅 시장은 2024년경 60억달러 규모로 전체 3D 프린팅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전망에 따라 글로벌기업 ‘P&G’는 지난해 의료용 3D 프린팅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공개했다.
화장품 기업 ‘로레알’ 역시 미국 스타트업 오가노보와 손잡고 의료용 3D 프린팅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최근 다양한 소재 개발로 의료산업분야 패러다임을 바꿀 의료용 3D 프린팅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박희정)은 오는 3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로즈홀에서 ‘첨단 의료산업을 위한 3D 프린팅 적용기술 및 활용방안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 분야 기술적·사업적 노하우를 공유한다.
세미나에서는 ▲3D 프린팅 기술기반 멀티스케일 구조물 제작 및 생체의료분야 적용방안’(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석희 박사)을 시작으로 ▲세포 적재 하이브리드 구조의 바이오 3D 프린팅 개발과 적용방안(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최재순 교수) ▲첨단 의료기기 개발·허가를 위한 3D프린팅 가이드라인 및 분야별 적용방안(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일형 박사)이 발표된다.
이어 ▲조직 재생을 위한 바이오 인공 지지체(스케폴드) 제작과 적용기술(한국기계연구원 박수아 박사) ▲금속 3D 프린팅을 이용한 정형외과 분야 활용방안과 기계적 특성 평가 기술(건양대학교 김정성 교수)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치과분야 적용기술과 상용화 방안(서울대 치과병원 박지만 교수) ▲저비용의 경량화된 3D 프린팅 전자의수 제작기 및 상용화 방안(만드로 이상호 대표)이 소개돼 최신 3D 프린팅 기술과 산업적 활용방안에 대한 전방위적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의료용 3D 프링팅 관련 국내외 핵심 업체 및 주도적 병원의 기술 이슈와 적용사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향후 시장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3D 프린팅 분야 기술적·사업적 노하우를 공유하는 동시에 의료용 3D 프린터, 바이오 인공장기 및 생체재료 관련업계 종사자 등에게 수준 높은 최신 기술정보는 물론 미래 비즈니스 기회 선점이 가능한 시장정보까지 제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의료산업분야에서 3D 프린팅은 병원 수술에 필요한 환자맞춤형 수술용 가이드나 임플란트 제조 등에 도입돼 활용되고 있다.
또 의수·의족과 같이 비교적 제작이 단순한 신체부위를 만들기 위해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사례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와이어나 유압·공기압 등으로 관절 마디마디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고가의 의수·의족도 제작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 세포조직을 프린트하는 기술 분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3D 프린터로 제작한 조직은 환자 자신의 몸에서 채취한 세포 조직을 체외에서 배양해 프린트 하는 것으로 타인의 장기이식 시 발생되는 면역억제제 복용과 거부반응 등의 위험 없는 이식이 가능해졌다.
특히 시장조사업체 ID테크엑스에 따르면, 의료용 3D 프린팅 시장은 2024년경 60억달러 규모로 전체 3D 프린팅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전망에 따라 글로벌기업 ‘P&G’는 지난해 의료용 3D 프린팅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공개했다.
화장품 기업 ‘로레알’ 역시 미국 스타트업 오가노보와 손잡고 의료용 3D 프린팅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