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선제 산의회 해체 제안에 1인 시위까지 "대의원도 못 믿겠다"
불신의 벽은 생각보다 단단했다. 법원이 정해준 관선이사도 소용없었다. 원칙을 앞세우는 구세력을 비판하며 1인 시위까지 나서는 상황이 벌어졌다.
두 쪽난 (구)대한산부인과의사회와 직선제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이야기다.
(구)산부인과의사회 경기지회 원영석 부회장은 21일 이균부 임시회장의 사무실 앞에서 1인 시위를 펼쳤다. 원 부회장은 현재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기도 하다.
원 부회장의 손에는 '회원총회로 창립된 직선제 산의회 해체 망언하는 이균부는 사퇴하라', '구 집행부 입장 대변하는 이균부 임시회장은 사퇴하라' 등이 쓰인 피켓이 들려 있었다.
그는 "법원에서 정해 준 이균부 임시회장은 매주 화요일 산부인과의사회 비상대책위원회와 구 집행부를 만나 회장 선출 방법에 대해 논의해왔다"며 "20일도 어김없이 합의점을 찾기 위한 회의가 열렸는데 그 자리에서 직산회 해산 이야기가 나왔다"고 운을 뗐다.
이어 "아무것도 해결된 게 없는데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해체 이야기부터 꺼낸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한 사람의 회원으로서 자세한 정황을 알고 싶었다"고 1인 시위에 나서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20일 열린 회의에서 이균부 회장은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를 해체하고 집행부를 1대1 비율로 구성한 다음 대의원 총회를 개최해 간선제의 정관을 먼저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결국 정관에 따른 원칙을 앞세운 것.
변화가 있다면 집행부를 (구)산부인과의사회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1대1 비율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는 해체는 나중의 일이고, 전체 산부인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회장선거 방식 투표를 먼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 부회장은 "정관에 없는 내용이라도 사원총회는 할 수 있다"며 "중립적인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모바일 투표를 진행하면 충분히 객관적인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전체 산부인과 의사들의 뜻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장 선거를 직선제로 바꾸길 원한다면 정관에 따라 대의원총회를 열어서 회장 선거 방식을 바꾸면 되는 일인데, 이 원칙을 맹렬하게 거부하는 이유는 뭘까.
답은 불신이었다. 전국에서 선출된 70여명의 대의원을 못 믿겠다는 것이었다. (구)산부인과의사회를 믿지 못해 의사회가 두 동강 났는데 대의원들은 기존 집행부와 유착돼 있을 것이 뻔하다는 게 원 부회장의 주장이다.
원영석 부회장은 "대의원총회를 여는 것까지는 이견이 없지만 대의원을 믿을 수 없다"며 "서울, 경기같이 회원 숫자가 많지 않은 지역은 대의원 선출 방식이 추대식이거나 하던 사람이 계속하는 등 정당한 절차를 밟는다고 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의원 숫자도 비민주적이다. 서울과 경기에 회원이 특히 많은데 대의원 숫자는 상대적으로 적게 돼 있다"며 "정관 개정은 대의원 3분의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데 현재와 같은 대의원이라면 정관 개정 자체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처음 의사회 문을 두드렸을 때가 요실금 문제 때문이었는데 의사회 임원에게 돌아온 답변은 조심하지 그랬어요라는 말이었다"며 "회원들이 어려운 일에 닥쳤을 때 기댈 곳은 의사회밖에 없는데, 이미 정관을 따라 원칙을 지킨다는 것은 어려운 이야기인 것 같다"고 비관했다.
두 쪽난 (구)대한산부인과의사회와 직선제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이야기다.
(구)산부인과의사회 경기지회 원영석 부회장은 21일 이균부 임시회장의 사무실 앞에서 1인 시위를 펼쳤다. 원 부회장은 현재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기도 하다.
원 부회장의 손에는 '회원총회로 창립된 직선제 산의회 해체 망언하는 이균부는 사퇴하라', '구 집행부 입장 대변하는 이균부 임시회장은 사퇴하라' 등이 쓰인 피켓이 들려 있었다.
그는 "법원에서 정해 준 이균부 임시회장은 매주 화요일 산부인과의사회 비상대책위원회와 구 집행부를 만나 회장 선출 방법에 대해 논의해왔다"며 "20일도 어김없이 합의점을 찾기 위한 회의가 열렸는데 그 자리에서 직산회 해산 이야기가 나왔다"고 운을 뗐다.
이어 "아무것도 해결된 게 없는데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해체 이야기부터 꺼낸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한 사람의 회원으로서 자세한 정황을 알고 싶었다"고 1인 시위에 나서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20일 열린 회의에서 이균부 회장은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를 해체하고 집행부를 1대1 비율로 구성한 다음 대의원 총회를 개최해 간선제의 정관을 먼저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결국 정관에 따른 원칙을 앞세운 것.
변화가 있다면 집행부를 (구)산부인과의사회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1대1 비율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는 해체는 나중의 일이고, 전체 산부인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회장선거 방식 투표를 먼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 부회장은 "정관에 없는 내용이라도 사원총회는 할 수 있다"며 "중립적인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모바일 투표를 진행하면 충분히 객관적인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전체 산부인과 의사들의 뜻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장 선거를 직선제로 바꾸길 원한다면 정관에 따라 대의원총회를 열어서 회장 선거 방식을 바꾸면 되는 일인데, 이 원칙을 맹렬하게 거부하는 이유는 뭘까.
답은 불신이었다. 전국에서 선출된 70여명의 대의원을 못 믿겠다는 것이었다. (구)산부인과의사회를 믿지 못해 의사회가 두 동강 났는데 대의원들은 기존 집행부와 유착돼 있을 것이 뻔하다는 게 원 부회장의 주장이다.
원영석 부회장은 "대의원총회를 여는 것까지는 이견이 없지만 대의원을 믿을 수 없다"며 "서울, 경기같이 회원 숫자가 많지 않은 지역은 대의원 선출 방식이 추대식이거나 하던 사람이 계속하는 등 정당한 절차를 밟는다고 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의원 숫자도 비민주적이다. 서울과 경기에 회원이 특히 많은데 대의원 숫자는 상대적으로 적게 돼 있다"며 "정관 개정은 대의원 3분의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데 현재와 같은 대의원이라면 정관 개정 자체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처음 의사회 문을 두드렸을 때가 요실금 문제 때문이었는데 의사회 임원에게 돌아온 답변은 조심하지 그랬어요라는 말이었다"며 "회원들이 어려운 일에 닥쳤을 때 기댈 곳은 의사회밖에 없는데, 이미 정관을 따라 원칙을 지킨다는 것은 어려운 이야기인 것 같다"고 비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