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보고서 발표, 바우처제도 제안…신생아 청각선별검사 벤치마킹
소아청소년 소음성 난청 조기 검진 인프라 구축을 위해 사방으로 뛰고 있는 이비인후과 의사들.
그들의 주장을 보다 탄탄히 하기 위해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가 근거도 만들었다. '바우처 제도 도입'이라는 구체적인 대안도 제시했다.
이비인후과의사회는 최근 건강보험공단의 연구용역으로 진행한 '의원급 이비인후과 시설을 이용한 학교건강검진 청력검사 개선방안 연구(연구책임 고려대의료원 채성원 교수)'를 완료했다. 3개월에 걸쳐 진행된 연구의 비용은 2900만원.
연구진은 학교검진 청력검사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해외 사례등을 참고해 소아청소년 난청 조기검진을 위한 새로운 제도를 제안했다.
이비인후과의사회는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부와 구체적인 난청 조기검진을 위한 시범사업 모델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현재 만 7세, 10세, 13세, 16세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청력검사를 하고 있지만 학교 내 검진 장비 등 인프라가 열악한 실정이다.
연구진은 "소아청소년 시기 경도난청은 언어발달 뿐만 아니라 학습능력에도 영향을 줘 발달 지연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초기에 소음성난청을 확인하고 난청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고주파 포함 여러 주파수에 대한 청력역치를 확인하는 방법의 청력검사가 필요하다"며 필요성을 역설했다.
대한청각학회 및 대한이과학회, 이비인후과의사회는 회의를 거쳐 의원급 이비인후과 시설을 이용한 학교기반 청력검사의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연구진은 정확한 청력검진을 위해서는 청력검사기를 갖춘 공간에서 다양한 주파수의 순음에 대해 반응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학교들이 청력검사 공간과 청력검사기 등 인프라를 갖추기가 벅차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은 지역 의료기관과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학교는 쿠폰을 발급해주고 학생은 지역별 의원급 이비인후과에서 검사를 받고, 그 비용은 정부가 지원해주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교육부와 학교는 학생들에게 검사 쿠폰을 발행하고 학생은 거주지 근처의 지정 이비인후과의원 및 병원에 쿠폰을 제출한다음 청력검사를 받는다.
의원 및 병원은 쿠폰에 결과를 기록해 학생에게 돌려주고 사본을 보관한 후, 결과를 정부에 보고하면 된다. 추가검사가 필요한 학생에게는 난청 확진검사를 받을 수 있는 상급병원을 안내한다.
연구진은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모델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각 지역 동사무소를 통해 발급된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쿠폰으로 각 지역병원에서 신생아청각선별검사를 받고, 추후 정부에서 그 비용을 부담해주는 방식이다.
연구에 따르면 전국 250개의 시군구 중 이비인후과 의원이 없는 지역은 43곳으로 이 지역에는 약 13만명의 초중고 학생이 있다. 이는 전체 초중고 학생의 약 2% 수준이다.
전국 2300여개의 이비인후과 의원 중 방음시설과 청력검사기를 보유하고 있는 이비인후과 의원은 절반 수준이다.
연구진은 "학교기반 청력검사가 시행된다면 그 수요에 맞춰 더 많은 개인 이비인후과 의원이 필요 시설과 장비를 구축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 "약 13만명의 학생들은 거주지역이 아닌 인접지역으로 이동해 순음청력검사를 받거나 해당지역으로 청력검사 장비와 시설이 구축된 검진버스 등을 통해 검사가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의원급 이비인후과 시설을 활용한 학교건강검진 청력검사의 정확도가 높아지면 소아청소년의 난청 비율, 난청의 정도 및 시행된 청각재활 방법에 대한 신뢰 높은 데이터가 수집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들의 주장을 보다 탄탄히 하기 위해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가 근거도 만들었다. '바우처 제도 도입'이라는 구체적인 대안도 제시했다.
이비인후과의사회는 최근 건강보험공단의 연구용역으로 진행한 '의원급 이비인후과 시설을 이용한 학교건강검진 청력검사 개선방안 연구(연구책임 고려대의료원 채성원 교수)'를 완료했다. 3개월에 걸쳐 진행된 연구의 비용은 2900만원.
연구진은 학교검진 청력검사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해외 사례등을 참고해 소아청소년 난청 조기검진을 위한 새로운 제도를 제안했다.
이비인후과의사회는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부와 구체적인 난청 조기검진을 위한 시범사업 모델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현재 만 7세, 10세, 13세, 16세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청력검사를 하고 있지만 학교 내 검진 장비 등 인프라가 열악한 실정이다.
연구진은 "소아청소년 시기 경도난청은 언어발달 뿐만 아니라 학습능력에도 영향을 줘 발달 지연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초기에 소음성난청을 확인하고 난청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고주파 포함 여러 주파수에 대한 청력역치를 확인하는 방법의 청력검사가 필요하다"며 필요성을 역설했다.
대한청각학회 및 대한이과학회, 이비인후과의사회는 회의를 거쳐 의원급 이비인후과 시설을 이용한 학교기반 청력검사의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연구진은 정확한 청력검진을 위해서는 청력검사기를 갖춘 공간에서 다양한 주파수의 순음에 대해 반응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학교들이 청력검사 공간과 청력검사기 등 인프라를 갖추기가 벅차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은 지역 의료기관과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학교는 쿠폰을 발급해주고 학생은 지역별 의원급 이비인후과에서 검사를 받고, 그 비용은 정부가 지원해주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교육부와 학교는 학생들에게 검사 쿠폰을 발행하고 학생은 거주지 근처의 지정 이비인후과의원 및 병원에 쿠폰을 제출한다음 청력검사를 받는다.
의원 및 병원은 쿠폰에 결과를 기록해 학생에게 돌려주고 사본을 보관한 후, 결과를 정부에 보고하면 된다. 추가검사가 필요한 학생에게는 난청 확진검사를 받을 수 있는 상급병원을 안내한다.
연구진은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모델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각 지역 동사무소를 통해 발급된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쿠폰으로 각 지역병원에서 신생아청각선별검사를 받고, 추후 정부에서 그 비용을 부담해주는 방식이다.
연구에 따르면 전국 250개의 시군구 중 이비인후과 의원이 없는 지역은 43곳으로 이 지역에는 약 13만명의 초중고 학생이 있다. 이는 전체 초중고 학생의 약 2% 수준이다.
전국 2300여개의 이비인후과 의원 중 방음시설과 청력검사기를 보유하고 있는 이비인후과 의원은 절반 수준이다.
연구진은 "학교기반 청력검사가 시행된다면 그 수요에 맞춰 더 많은 개인 이비인후과 의원이 필요 시설과 장비를 구축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 "약 13만명의 학생들은 거주지역이 아닌 인접지역으로 이동해 순음청력검사를 받거나 해당지역으로 청력검사 장비와 시설이 구축된 검진버스 등을 통해 검사가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의원급 이비인후과 시설을 활용한 학교건강검진 청력검사의 정확도가 높아지면 소아청소년의 난청 비율, 난청의 정도 및 시행된 청각재활 방법에 대한 신뢰 높은 데이터가 수집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