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수가 신설·PA 제도개선 촉구…복지부 "적정보상 개선방안 검토"

간호사들은 입원료 별도 간호수가 신설과 PA(의사보조인력) 불법화 대안인 간호사 전환, 간호보조인력 축소 등을 강도 높게 주장했다.
연말 간호인력 개선방안 발표를 앞둔 복지부는 유연근무제 그리고 수가 개선과 간호사 연결고리, 임신순번제 규제 가이드라인 등 간호인력 적정보상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여 병원계 반발이 예상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양승조) 주최, 간호협회(회장 김옥수) 주관으로 26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간호사 수급 불균형 해소 및 지원방안 토론회'에 참석한 연자들은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는 간호사들을 위한 대책마련에 공감했다.

박소영 교수 "신규 간호사 배출 감안하면 향후 OECD 평균 상회할 것"
앞서 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의료인력 수급체계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사가 2020년 11만명, 2030년 15만 8554명이 부족해 향후 OECD 평균을 밑도는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간호대 인원 증원 필요성을 시사했다.
박 교수는 "병상 수 증가량이 간호사 수 증가량을 앞지르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고, 간호사 대비 간호조무사 비율 역시 OECD국가 평균의 3.5배 많다"고 지적하고 "정부의 미흡한 관리정책으로 노동강도가 증가하고 신규 간호사를 중심으로 높은 이직률과 경력 간호사의 업무 부담이 더욱 가중되면서 이직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제도개선을 주문했다.

보건노조 "간호사 증원은 밑 빠진 독 물 붓기"-병협 "중소병원 간호난 심각"
보건의료노조 나영명 정책기획실장은 "국회 계류 중인 보건의료인력특별법만 통과되면 간호사 문제의 70%가 해결될 것"이라면서 "문제는 책상에서 수치 중심으로 나오는 정부의 정책이다. 간호대 입학생을 늘린다 해도 밑 빠진 독에 물 뭇기에 불과하다. 인력 충원은 비용 문제로 수가와 연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건강세상네트워크 김준현 상임대표는 "정부가 간호사 현황 파악부터 다시 해야한다. 의사들의 생산성 파악을 위한 차등수가제를 돈벌이가 어렵다고 없앴다"고 지적하고 "수도권 대학을 선호하는 교육여건도 감안해야 한다. 단순한 임금과 근로조건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간호협회 "간호등급 미신고 병원 패널티 강화-PA 병원조차 적법화 반대"
서순림 부회장은 이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정착을 위해 졸업예정자의 공공병원 취업과 입원료 간호수가 개편, 간호등급제 미신고 병원 패널티 강화 등이 필요하다"며 "PA를 활용하는 병원조차 적법화에 반대하고 있다. PA 불법화를 거둬 간호사를 전환한다면 인력부족 문제가 보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병원계는 간호인력난 현실을 감안한 간호사 증원 확대 입장을 고수했다.
병원협회 박용주 상근부회장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와 환자안전 그리고 고령사회 등을 감안할 때 간호사 부족 현상은 가중될 것"이라면서 "지역 중소병원의 간호인력난은 심각한 수준이다. 공중보건간호사 신설에 공감하며 중소병원 세제 혜택과 입원료 수가 현실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복지부 "적정수가에 간호인력 보상 검토…간호사에게 가는 연결고리 중요"
의료자원정책과 곽순헌 과장은 "의료계와 비급여 급여화 적정수가 논의에서 간호인력 적정보상이 빠지지 않도록 모니터링 하겠다. 단순한 야간간호사 개선 뿐 아니라 수가 인센티브와 수당 지급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유연근무제와 수가개선에서 중요한 것은 간호사에게 직접 가는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다"라면서 "간호사 임신순번제와 감정노동 등은 별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방안도 담겠다. 보건의료인력특별법에 녹아들어가게 하고, 여건이 성숙되면 전공의특별법처럼 간호사 권익증진을 위한 별도 법안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해 참석 간호사들의 박수를 받았다.
플로어 질문에서도 간호사들의 호소가 이어졌다.
중소병원 간호사 "나이트 근무 11개 이상, 초과수당 안주는 병원도 있다"
지역 간호사 한 임원은 "의사들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의사인력을 제한하고, PA 합법화를 안하는 것으로 안다. OECD 비해 의료기관 과잉 공급, 국민들의 과잉 사용으로 건강보험료가 과잉 지불되고 있으며 결국 비용은 의사와 병원에게만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 식전 행사에는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을 비롯해 여야 간사와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등 다수의 국회의원들이 참석해 간호사의 처우개선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