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률 96%…54세 남성 환자에 아들 간 3분의2 이식

간이식팀은 2003년 3월 간경화 앓고 있던 30대 후반 여성에게 이식하는 간이식 수술을 시작으로 2005년 5월 첫 생체 간이식 수술을 성공했다.
2008년 10월 100례 달성과 함께 2012년 2월 300례, 2015년 5월 500례, 그리고 2017년 1월 간이식 600례를 달성했다.
생체 간이식은 살아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말기 간질환 환자에게 이식하는 수술로 대구가톨릭대병원의 생체 간이식의 전체 성공률은 96%에 이른다.
특히 며칠 이내에 간이식을 받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밖에 없는 고위험 환자들을 포함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5년간의 성공률이 98%에 이른다.
생체 간이식 수술은 뇌사자 간이식 수술과 달리 문합 혈관 및 담도의 크기가 작아 수술적 난이도가 높고 기증자의 안전이 우선시 돼야 한다.
2010년에는 지역에서 최초로 2대1 생체 간이식수술을 성공했으며, 2013년 6월에는 지역 최초로 생체 간-신장 동시이식 수술 등 고난이도 기술이 필요한 이식수술을 잇달아 성공했다.
고난도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을 60례 이상 성공적으로 시행하며 수도권 대형병원이 아닌 지역에서도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최동락 장기이식센터장(외과)은 "도전과 열정의 정신으로 한계를 극복한 결과"라며 "서울 대형병원과 비교해도 손색 없는 수준 높은 간이식 수술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말기 간경화나 간암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에게 새 삶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현재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구가톨릭대병원은 지난달 29일을 기준으로 총 650례의 간이식을 시행했으며 이중 생체 간이식 502례, 뇌사자 간이식 148례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