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익 이사장, 적정수가론 제시 "전문과목 간 이윤폭 균형 필요"
국민건강보험공단 김용익 이사장이 공급자 단체들과의 수가협상 상견례에서 제기한 '적정수가'의 개념을 직접 설명하고 나서 주목된다.
이른바 '원가 +a'를 전제로 한 적정수가라고 해서 무작정 공급자인 의료계에 퍼주겠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익희 기획이사는 "적정수가라는 것이 이른바 '원가+a'라고 하는데 이 부분에 대한 오해가 많다"며 "일각에서는 무작정 수가를 퍼주거나 인상시킨다고 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기획이사는 "수가협상은 공급자에 대한 적정한 보상과 국민들이 동의할 수 있는 적정부담의 균형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며 "각자의 기대와 책임의 균형점을 함께 찾아가는 기회"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건보공단은 '적정수가의 개념'이라는 문건을 제시했다.
건보공단이 제시한 적정수가는 '저수가도 고수가도 아닌 적정 이윤이 있는 수가로, 각 수가 항목의 이윤 폭이 균일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용익 이사장은 대한병원협회 등 의료계 특강 자리에서 이러한 적정수가 개념을 밝힌 바 있다.
김용익 이사장은 지난 3월 병원협회 조찬세미나 특강에 나서 "문재인 케어가 추구하는 바는 건강보험 진료만으로 병의원을 경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원가 +a' 수준의 수가 설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반대로 비급여를 집중적으로 하던 의료기관은 당연히 문재인 케어를 실시하면 손해를 보는 결과가 낳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원가 +a'의 수가를 적용하고, 각 수가간의 평등한 구조를 만들면 이러한 비급여로 인한 왜곡된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며 "어떤 진료를 하든지 이윤폭을 같게 한다면 의사들도 경제적인 고려 없이 환자들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왜곡된 구조도 바로 잡혀 정상적인 진료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선 병원과 전문과목 간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의료계 인사는 "건보공단은 전면적으로 수가제도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 같다"며 "김용익 이사장이 제시한 적정수가의 개념을 적용하면 각각의 의료행위의 이윤폭을 균등하기 하기 위한 조치가 수가협상에서 제시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수술이나 처치 혹은 전문과목 상 외과계열의 수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다"며 "이러한 수가를 상향해 각 의료행위의 이윤폭을 맞추려는 작업을 수가협상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