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병원 연구진, 군 복무와 성인 ADHD 관련 논문 최초 발표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반건호(교신저자)·이상민 교수(주저자), 노기문 전공의(제1저자)는 연구를 통해 성인 ADHD 환자의 사회성과 직업 능력은 개인의 역량과 공존 정신장애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성인이 된 후 처음으로 ADHD 진단을 받은 환자 89명의 자료를 분석해 현역 군 복무를 마친 집단(군필 집단)과 ADHD가 아닌 다른 의학적 사유로 복무를 면제받은 집단(면제 집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군필 집단은 면제 집단에 비해 지능지수(IQ)가 높고, 전문 직종 종사 비율이 높았던 반면, 우울증과 같은 공존 정신장애 비율은 낮았다.
즉, ADHD가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의 역량에 따라 군대 생활을 소화해 낼 수 있으며, 이후 사회적응 능력은 ADHD가 아닌 개인의 역량에 따라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결과라는 설명이다.
반건호 교수는 "성인 ADHD 환자의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편견"이라며 "다만, ADHD로 인한 합병증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제대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논문은 군 복무 여부에 따라 성인기 ADHD의 특성을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로 평가받아 신경정신질환-치료(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