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서 상생 입장 밝혀...박능후 장관도 예방
약사회 김대업 집행부가 의료계와 신뢰 회복을 위한 상생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대한약사회 김대업 신임 회장(56, 성균관대 약대)은 20일 세종청사에서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의사협회는 보건의료계 한 축이자 파트너로 의약계 싸움 구도에서 벗어나고 싶은데 쉽지 않다. 출발은 의사와 약사 이익의 교집합부터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대업 회장은 지난해 12월 치뤄진 약사회장 선거에서 58% 득표로 당선됐으며, 올해 3월 12일 임기 3년 신임 회장 직무를 시작했다.
이날 김대업 회장은 세종청사를 방문해 박능후 장관과 상견례를 가졌다.
김 회장은 "장관에게 국민의 이익과 약사의 이익이 만나는 부분을 정책 방향으로 삼겠다고 전달했다"면서 "전문의약품은 공공재이며 돌발적 위험이 높다는 두 가지 클 틀에서 입장을 피력했다"고 설명했다.
김대업 회장은 "약사는 전문의약품의 구매량과 품목을 정할 수 없다. 약의 재고가 남으면 소진방법도 약사에게 있지 않다. 국가가 약사면허를 만들고 의약품의 적정 공급 권한을 줬는데 사회적 부담을 약사에게 과도하게 지우고 있다"며 약계 현실을 토로했다.
그는 다만, "전문의약품 공공재와 성분명 처방은 결이 다른 얘기"라고 선을 긋고 "의약품을 공공성을 알리고 싶은 부분일 뿐 성분명 처방을 주장하고 싶은 것은 아니다"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김대업 회장의 아킬레스 건인 안전상비의약품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안전상비의약품 도입에 찬성한 집행부 일원이라는 꼬리표로 회장 선거 내내 시달려야 했다
김 회장은 "이전 선거에서 떨어진 이유가 안전상비의약품 도입으로 매약노 중 왕이 될 것 같다"고 멋적은 웃음을 보이면서 "안전상비의약품 한 품목 확대가 국민 건강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 지 반문하고 싶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약사회는 이날 마진없는 전문의약품 카드수수료 인하와 가루약 조제 처방일 제한, 약대 신설 반대, 약국 카드 마일리지 정당성, 커뮤니티케어 약사 역할 신설 그리고 복지부 제2 차관 신설 등을 복지부에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능후 장관은 "약사회와 새로운 전기가 만들어진 것 같다 국민 건강이라는 공감대 속에서 그동안 막혀있던 약사회와 복지부 대화 통로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김대업 회장 예방을 치켜세웠다.
김대업 집행부가 풀어야 할 현안 과제 중 하나가 보건의료계 직역 간 갈등이다.
김대업 회장은 "의사협회와 한의사협회 그리고 약사회 모두 보건의료계 파트너이다, 싸움구도에서 빨리 벗어나고 싶은데 쉽지 않고 해답도 없다"고 말하고 "그래도 출발은 의사와 약사 이익의 교집합부터 찾아야 한다. 보건의료단체장 모임을 통해 고민해 보겠다"며 사실상 의료계와 약계 상생이라는 화두를 제시했다.
김 회장은 가톨릭의대 입학 후 대학 내 신문기자로 활동하면서 일련의 사태를 거쳐 중도 하차한 후 성균관대 약대에 다시 입학한 독특한 케이스로 의료계 내 인맥이 넓은 약사로 알려졌다.
제약계 최대 현안인 제네릭 의약품 약가 개선 정책 관련 소신을 피력했다.
김대업 회장은 "제네릭 의약품 중심의 국내 제약 정책은 비정상적이다. 제네릭 의약품이 3만개 이상인 나라는 없다"고 전제하고 "의약품 인허가 정책에서 언 브랜드 제네릭이 필요하다. 더 이상 제네릭 의약품 브랜드는 필요치 않다"고 단언했다.
그는 "선진국과 같이 오리지널 의약품 당 제네릭 의약품은 5개 정도면 적당하다. 제네릭 의약품은 제약산업 문제기도 하지만 보건의료 정책 문제이며 의사와 약사 모두가 연계된 사항"이라며 제네릭 의약품 감축 당위성을 분명히 했다.
대한약사회 김대업 신임 회장(56, 성균관대 약대)은 20일 세종청사에서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의사협회는 보건의료계 한 축이자 파트너로 의약계 싸움 구도에서 벗어나고 싶은데 쉽지 않다. 출발은 의사와 약사 이익의 교집합부터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대업 회장은 지난해 12월 치뤄진 약사회장 선거에서 58% 득표로 당선됐으며, 올해 3월 12일 임기 3년 신임 회장 직무를 시작했다.
이날 김대업 회장은 세종청사를 방문해 박능후 장관과 상견례를 가졌다.
김 회장은 "장관에게 국민의 이익과 약사의 이익이 만나는 부분을 정책 방향으로 삼겠다고 전달했다"면서 "전문의약품은 공공재이며 돌발적 위험이 높다는 두 가지 클 틀에서 입장을 피력했다"고 설명했다.
김대업 회장은 "약사는 전문의약품의 구매량과 품목을 정할 수 없다. 약의 재고가 남으면 소진방법도 약사에게 있지 않다. 국가가 약사면허를 만들고 의약품의 적정 공급 권한을 줬는데 사회적 부담을 약사에게 과도하게 지우고 있다"며 약계 현실을 토로했다.
그는 다만, "전문의약품 공공재와 성분명 처방은 결이 다른 얘기"라고 선을 긋고 "의약품을 공공성을 알리고 싶은 부분일 뿐 성분명 처방을 주장하고 싶은 것은 아니다"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김대업 회장의 아킬레스 건인 안전상비의약품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안전상비의약품 도입에 찬성한 집행부 일원이라는 꼬리표로 회장 선거 내내 시달려야 했다
김 회장은 "이전 선거에서 떨어진 이유가 안전상비의약품 도입으로 매약노 중 왕이 될 것 같다"고 멋적은 웃음을 보이면서 "안전상비의약품 한 품목 확대가 국민 건강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 지 반문하고 싶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약사회는 이날 마진없는 전문의약품 카드수수료 인하와 가루약 조제 처방일 제한, 약대 신설 반대, 약국 카드 마일리지 정당성, 커뮤니티케어 약사 역할 신설 그리고 복지부 제2 차관 신설 등을 복지부에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능후 장관은 "약사회와 새로운 전기가 만들어진 것 같다 국민 건강이라는 공감대 속에서 그동안 막혀있던 약사회와 복지부 대화 통로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김대업 회장 예방을 치켜세웠다.
김대업 집행부가 풀어야 할 현안 과제 중 하나가 보건의료계 직역 간 갈등이다.
김대업 회장은 "의사협회와 한의사협회 그리고 약사회 모두 보건의료계 파트너이다, 싸움구도에서 빨리 벗어나고 싶은데 쉽지 않고 해답도 없다"고 말하고 "그래도 출발은 의사와 약사 이익의 교집합부터 찾아야 한다. 보건의료단체장 모임을 통해 고민해 보겠다"며 사실상 의료계와 약계 상생이라는 화두를 제시했다.
김 회장은 가톨릭의대 입학 후 대학 내 신문기자로 활동하면서 일련의 사태를 거쳐 중도 하차한 후 성균관대 약대에 다시 입학한 독특한 케이스로 의료계 내 인맥이 넓은 약사로 알려졌다.
제약계 최대 현안인 제네릭 의약품 약가 개선 정책 관련 소신을 피력했다.
김대업 회장은 "제네릭 의약품 중심의 국내 제약 정책은 비정상적이다. 제네릭 의약품이 3만개 이상인 나라는 없다"고 전제하고 "의약품 인허가 정책에서 언 브랜드 제네릭이 필요하다. 더 이상 제네릭 의약품 브랜드는 필요치 않다"고 단언했다.
그는 "선진국과 같이 오리지널 의약품 당 제네릭 의약품은 5개 정도면 적당하다. 제네릭 의약품은 제약산업 문제기도 하지만 보건의료 정책 문제이며 의사와 약사 모두가 연계된 사항"이라며 제네릭 의약품 감축 당위성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