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서대원 교수팀, 측두엽 절제 환자 892명 추적 관찰
측두엽 뇌전증 수술 중 운동유발전위 검사를 통해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대원 교수팀은1995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측두엽 절제 수술을 진행한 892명 환자들에 대한 추적 관찰을 통해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이 실제로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인지 분석했다.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을 방문해 측두엽절제술을 시행한 난치성 뇌전증환자 중 수술중 신경계 감시를 시행하기 전에 수술을 받은 613명과 감시를 시행한 후에 수술을 받은 279명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비교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 시행 전 환자들 중 영구적인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은 총 7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편마비 1명은 MRI상 뇌기저핵 뇌경색이 원인이었고 나머지 6명은 중증도는 경미하지만 통증을 동반한 반신부전마비(3명)와 경도 반신부전마비(3명)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했다.
이들은 기저핵 외에도 미상핵,시상, 속섬유막에 발생한 뇌경색이 원인이었다.
하지만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는 합병증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은 신경생리검사의 하나인 유발 전위 검사에서 운동 유발 전위 검사와 체성 감각 유발 전위 검사를 이용한다.
삼성서울병원 수술 중 신경계 감시팀은 뇌전증 측두엽 절제 수술 동안 신경계 손상이 일어나는지 파형의 이상을 확인하며 감시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진행한 환자들 중 진폭이 50% 이상 감소한 환자들은 총 10명 이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는 10명에서 모두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고,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는 2명에서만 변화를 감지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로 이상 반응이 확인돼 바로 대처한 10명 환자들 모두 합병증이 1달안에 회복됐다.
파형 이상의 판단 기준은 기본 파형의 진폭이 수술 중에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삼았고 만일 실시간 추적감시에서 파형의 진폭이 감소하면 바로 외과 의사에게 알려 원인을 확인하고 구급 처치를 시행했다.
그 결과 신경 반응 진폭이 감소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과도한 견인(50%) 이였다. 그 외뇌척수액 소실(30%), 저혈압(10%), 혈관수축(10%)과 같은 원인들 모두 응급처치를 통해 대처할 수 있었다.
사실상 신경계 감시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모두 사전에 막을 수 있었던 셈이다.
서대원 교수는 "신경계 감시법이 난치성 뇌전증의 측두엽 뇌 절제술에서 합병증 0%를 기록하며 효과를 증명했다"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뇌전증 환자들과 많은 뇌신경계 질환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수술 받으면서 완치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대원 교수팀은1995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측두엽 절제 수술을 진행한 892명 환자들에 대한 추적 관찰을 통해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이 실제로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인지 분석했다.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을 방문해 측두엽절제술을 시행한 난치성 뇌전증환자 중 수술중 신경계 감시를 시행하기 전에 수술을 받은 613명과 감시를 시행한 후에 수술을 받은 279명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비교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 시행 전 환자들 중 영구적인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은 총 7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편마비 1명은 MRI상 뇌기저핵 뇌경색이 원인이었고 나머지 6명은 중증도는 경미하지만 통증을 동반한 반신부전마비(3명)와 경도 반신부전마비(3명)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했다.
이들은 기저핵 외에도 미상핵,시상, 속섬유막에 발생한 뇌경색이 원인이었다.
하지만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는 합병증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은 신경생리검사의 하나인 유발 전위 검사에서 운동 유발 전위 검사와 체성 감각 유발 전위 검사를 이용한다.
삼성서울병원 수술 중 신경계 감시팀은 뇌전증 측두엽 절제 수술 동안 신경계 손상이 일어나는지 파형의 이상을 확인하며 감시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진행한 환자들 중 진폭이 50% 이상 감소한 환자들은 총 10명 이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는 10명에서 모두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고,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는 2명에서만 변화를 감지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로 이상 반응이 확인돼 바로 대처한 10명 환자들 모두 합병증이 1달안에 회복됐다.
파형 이상의 판단 기준은 기본 파형의 진폭이 수술 중에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삼았고 만일 실시간 추적감시에서 파형의 진폭이 감소하면 바로 외과 의사에게 알려 원인을 확인하고 구급 처치를 시행했다.
그 결과 신경 반응 진폭이 감소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과도한 견인(50%) 이였다. 그 외뇌척수액 소실(30%), 저혈압(10%), 혈관수축(10%)과 같은 원인들 모두 응급처치를 통해 대처할 수 있었다.
사실상 신경계 감시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모두 사전에 막을 수 있었던 셈이다.
서대원 교수는 "신경계 감시법이 난치성 뇌전증의 측두엽 뇌 절제술에서 합병증 0%를 기록하며 효과를 증명했다"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뇌전증 환자들과 많은 뇌신경계 질환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수술 받으면서 완치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