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 김성환 교수팀 "요양병원 10곳 중 2곳에서 폐렴구균 발견"
정부-의료계 "연구 설계부터 잘못됐다...근거자료로 부족"
요양병원에서 배출된 일회용기저귀에서 감염병을 유발하는 균이 검출될 수 있다는 최종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병원에서 나오는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폐기물에서 일반폐기물로 전환하려는 정부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단체와 의료폐기물 수거업체가 감염 위험성을 주장하기 위해 만든 근거다.
의료계는 이미 중간보고 결과를 접한 시점부터 연구 자체가 부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은 26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요양병원 기저귀 감염성균 및 위해균에 대한 위해성 조사연구의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의료폐기물공제조합은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에 연구용역을 의뢰했고, 단국대 미생물학교실 김성환 교수가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152개 요양병원이 배출하는 일반의료폐기물 용기에서 무작위로 3개의 일회용 기저귀를 골라 가장 오염이 심한 부분을 각각 절취해 채집해 전염성균 및 유해균 검출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가 없었던 병원 11곳을 제외하고 141개 요양병원 중 28곳(19.9%)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법정감염병 제2군인 폐렴구균이 발견됐다. 이밖에도 폐렴감균,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프로테수으균과 포도상구균,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칸디다균 등이 나왔다.
김 교수는 "요양병원 내 일반병동에서 배출되는 일회용 기저귀는 폐렴 및 요로감염, 각족 염증과 피부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이 상당수 들어있다"라며 "일회용기저귀에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환경부가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폐기물 분류에서 제외하는 법안을 입법예고했는데 아직 보건학적으로 안전성을 확신할 수 없고 요양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의구심마저 존재하는 상황"이라며 "입법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국 요양병원에 대한 감염관리 실태와 일회용기저귀의 감염성 및 위해성에 대한 추가조사를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계-환경부 "연구 설계부터 잘못됐다"
의료계와 환경부는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의 연구결과 설계부터 잘못됐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
이미 환경부도 자체적으로 입법 타당성을 뒷받침 하기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부 폐자원관리과 권병철 과장은 "연구용역 설계를 보면 대조군이 없다"라며 "환경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는 요양병원에 직접 가서 감염 환자 여부를 판단해 의사가 감염 환자가 아니라고 한 환자의 기저귀를 받아서 세균이 있는지를 확인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정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용역이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추후 발표 기회가 있었으면 한다"라고 덧붙였다.ㅏ
의료계 역시 의료폐기물공제조합의 연구용역 결과가 부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달 더불어민주당 이석현·신창현 의원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일회용기저귀의 의료폐기물 제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토론회에 참석한 강남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송영구 교수는 "연구내용 자체가 과학적으로 근거를 제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단언했다.
송 교수는 "일회용 기저귀를 하고 있었던 환자가 감염환자인지, 감염 없이 누워있던 환자인지도 알 수 없고 기저귀 배출 시점도 언제인지 알 수 없다"라며 "단순히 기저귀에서 균이 나왔다는 것만 가지고는 감염 유해성이 있다고 연결짓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또 "검체를 채집하는 자체에 문제가 있다"라며 "죽은 세균, 살아있는 세균이 다 섞여서 나오기 때문에 감염성 있는 세균인지 판단하기는 어렵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김 교수팀이 진행한 연구를 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계획부터 잘못됐다"라며 "옳고 그름을 떠나서 근거자료로 쓰기에는 부족하다. 유해성 여부를 보려면 새롭게 디자인된 연구를 다시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병원에서 나오는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폐기물에서 일반폐기물로 전환하려는 정부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단체와 의료폐기물 수거업체가 감염 위험성을 주장하기 위해 만든 근거다.
의료계는 이미 중간보고 결과를 접한 시점부터 연구 자체가 부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은 26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요양병원 기저귀 감염성균 및 위해균에 대한 위해성 조사연구의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의료폐기물공제조합은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에 연구용역을 의뢰했고, 단국대 미생물학교실 김성환 교수가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152개 요양병원이 배출하는 일반의료폐기물 용기에서 무작위로 3개의 일회용 기저귀를 골라 가장 오염이 심한 부분을 각각 절취해 채집해 전염성균 및 유해균 검출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가 없었던 병원 11곳을 제외하고 141개 요양병원 중 28곳(19.9%)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법정감염병 제2군인 폐렴구균이 발견됐다. 이밖에도 폐렴감균,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프로테수으균과 포도상구균,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칸디다균 등이 나왔다.
김 교수는 "요양병원 내 일반병동에서 배출되는 일회용 기저귀는 폐렴 및 요로감염, 각족 염증과 피부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이 상당수 들어있다"라며 "일회용기저귀에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환경부가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폐기물 분류에서 제외하는 법안을 입법예고했는데 아직 보건학적으로 안전성을 확신할 수 없고 요양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의구심마저 존재하는 상황"이라며 "입법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국 요양병원에 대한 감염관리 실태와 일회용기저귀의 감염성 및 위해성에 대한 추가조사를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계-환경부 "연구 설계부터 잘못됐다"
의료계와 환경부는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의 연구결과 설계부터 잘못됐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
이미 환경부도 자체적으로 입법 타당성을 뒷받침 하기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부 폐자원관리과 권병철 과장은 "연구용역 설계를 보면 대조군이 없다"라며 "환경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는 요양병원에 직접 가서 감염 환자 여부를 판단해 의사가 감염 환자가 아니라고 한 환자의 기저귀를 받아서 세균이 있는지를 확인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정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용역이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추후 발표 기회가 있었으면 한다"라고 덧붙였다.ㅏ
의료계 역시 의료폐기물공제조합의 연구용역 결과가 부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달 더불어민주당 이석현·신창현 의원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일회용기저귀의 의료폐기물 제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토론회에 참석한 강남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송영구 교수는 "연구내용 자체가 과학적으로 근거를 제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단언했다.
송 교수는 "일회용 기저귀를 하고 있었던 환자가 감염환자인지, 감염 없이 누워있던 환자인지도 알 수 없고 기저귀 배출 시점도 언제인지 알 수 없다"라며 "단순히 기저귀에서 균이 나왔다는 것만 가지고는 감염 유해성이 있다고 연결짓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또 "검체를 채집하는 자체에 문제가 있다"라며 "죽은 세균, 살아있는 세균이 다 섞여서 나오기 때문에 감염성 있는 세균인지 판단하기는 어렵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김 교수팀이 진행한 연구를 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계획부터 잘못됐다"라며 "옳고 그름을 떠나서 근거자료로 쓰기에는 부족하다. 유해성 여부를 보려면 새롭게 디자인된 연구를 다시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