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업무유지' 여부 두고 노·사간 팽팽한 줄다리기
병원 측 "환자안전 유지 인력" vs 노조 "수용불가 조건"
국립대병원 중 최초로 정규직 전환 합의를 이끌어 눈길을 끌었던 서울대병원이 노조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정규직 전환을 앞두고 당초 정규직 전환 조건으로 내걸었던 필수업무유지를 두고 노·사간 이견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서울대병원 김연수 병원장은 정규직 전환 노·사 합의조건으로 응급실, 중환자실 등과 마찬가지로 필수업무유지 인력에 포함할 것을 조건으로 내건 바 있다.
당시 김 병원장은 "단순히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아니라 해당 인력을 '환자안전지원직'이라는 새로운 직군으로 신설할 예정"이라며 "단순한 청소 개념이 아닌 환자의 감염관리를 위한 인력으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환자 안전을 위한 직군인 만큼 필수업무유지 인력에 해당한다는 게 그의 설명.
하지만 의료연대 서울대병원 노조는 "근거없는 억지"라며 '필수업무유지'는 수용할 수 없는 카드라는 게 노조 측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서울대병원 노조는 29일부터 입장을 선회할 때까지 무기한 중식집회를 진행하고 30일, 국립대병원장 회의 진행 장소 앞에서 교육부 및 서울대병원장을 규탄하는 농성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후로도 공식적인 입장 변화가 없다면 총파업투쟁을 포함한 총력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 측은 "노사관계 파국을 원치 않는다면 당장 정규직 전환 관련해 노동조합이 고민할 수 있는 안을 제시해달라"고 촉구했다.
'필수업무유지' 여부를 두고 노사간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노사교섭을 통해 당초 예정대로 정규직 전환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다만 '필수업무유지'는 당초 정규직 전환 전제조건이었던 만큼 이를 뒤집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그럼에도 교섭을 통해 필수업무인력 비율을 당초안에서 조정 중에 있다"며 "응급중환자실은 100%에서 70%로 병동은 70%에서 50%로 낮췄음에도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정규직 전환을 앞두고 당초 정규직 전환 조건으로 내걸었던 필수업무유지를 두고 노·사간 이견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서울대병원 김연수 병원장은 정규직 전환 노·사 합의조건으로 응급실, 중환자실 등과 마찬가지로 필수업무유지 인력에 포함할 것을 조건으로 내건 바 있다.
당시 김 병원장은 "단순히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아니라 해당 인력을 '환자안전지원직'이라는 새로운 직군으로 신설할 예정"이라며 "단순한 청소 개념이 아닌 환자의 감염관리를 위한 인력으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환자 안전을 위한 직군인 만큼 필수업무유지 인력에 해당한다는 게 그의 설명.
하지만 의료연대 서울대병원 노조는 "근거없는 억지"라며 '필수업무유지'는 수용할 수 없는 카드라는 게 노조 측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서울대병원 노조는 29일부터 입장을 선회할 때까지 무기한 중식집회를 진행하고 30일, 국립대병원장 회의 진행 장소 앞에서 교육부 및 서울대병원장을 규탄하는 농성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후로도 공식적인 입장 변화가 없다면 총파업투쟁을 포함한 총력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 측은 "노사관계 파국을 원치 않는다면 당장 정규직 전환 관련해 노동조합이 고민할 수 있는 안을 제시해달라"고 촉구했다.
'필수업무유지' 여부를 두고 노사간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노사교섭을 통해 당초 예정대로 정규직 전환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다만 '필수업무유지'는 당초 정규직 전환 전제조건이었던 만큼 이를 뒤집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그럼에도 교섭을 통해 필수업무인력 비율을 당초안에서 조정 중에 있다"며 "응급중환자실은 100%에서 70%로 병동은 70%에서 50%로 낮췄음에도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