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B형 간염 가이드라인 개정 후 AST, ALT 기준 삭제
항바이러스 투약 시기 앞당기니 간세포암 발병 크게 줄어
대한간학회가 B형 간염 항 바이러스 요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변경한 것이 간세포암 위험 등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AST(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수치에 관계없이 HBV DNA만으로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하도록 한 것이 상당한 효과를 거둔 셈이다.
2007년 가이드라인 2012년 변경…AST, ALT 수치 기준 삭제
오는 26일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는 B형 간염 가이드라인 변경이 간세포암 발병에 미친 영향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 연구 결과가 게재될 예정이다.
연세대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지난 2015년 간학회가 B형 간염 가이드라인을 변경한 것이 과연 간세포암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획됐다.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전 세계적으로 2억 4천만명이나 감염된 다발성 질환으로 만성 B형 간염의 경우 간경변 및 간세포암의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대한 1차 치료로는 엔테카비어나 테노포비어와 같은 경구용 항 바이러스 제제가 활용되지만 언제, 어떤 환자에게 이를 처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는 상황.
이에 따라 2007년 대한간학회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B형 간염에 대한 항 바이러스 요법의 개시 시기와 대상으로 HBV DNA가 2000IU/mL 이상이고 AST 및 ALT 수치가 40IU/L보다 높은 경우로 명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AST나 ALT 등 간 효소 수치가 B형 간염의 진행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며 이를 진단과 치료 시작의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또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간 섬유화가 심하게 나타난 환자는 오히려 거의 AST와 ALT 수치가 정상 범위를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 것도 사실이다.
이에 따라 간학회는 2012년 마침내 가이드라인을 개정하며 항 바이러스 요법 시작을 위한 조건으로 AST나 ALT 수치 기준을 완전히 삭제했다.
AST나 ALT 수치에 관계없이 HBV DNA가 2000IU/mL 이상이면 곧바로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하라는 권고. 이번 연구는 이러한 가이드라인 변경이 과연 실제 환자들에게 혜택을 가져왔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기반인 셈이다.
가이드라인 변경 상당한 효과…간세포암 위험 크게 낮춰
이에 따라 연구진은 이러한 가이드라인 개정에 맞춰 급여 기준이 변경된 2015년을 기준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한 간경변 환자 429명을 대상으로 간세포암 위험을 분석했다.
지침 개정 전에 치료를 받은 군(196명)과 개정 이후 치료를 받은 환자(233)로 나눠 3개월에서 6개월마다 정기적인 검사를 진행하며 추적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항 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특성은 유사했지만 가이드라인 개정 이전에 시작한 환자는 AST가 52, ALT가 46, HBV DNA가 5.7로 개정 이후 환자에 비해 크게 높았다(AST 40, ALT 37, HBV DNA 5.1).
연구진이 추정한 대로 가이드라인 변경은 간세포암 발병 위험에도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변경 이전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이 개정 이후 진료를 받은 환자에 비해 간세포암 발병 위험이 1.9배나 높았기 때문이다.
간세포암의 누적 발생률 또한 마찬가지 경향을 보였다. 변경 전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받은 환자의 1년 누적 발생률은 4.1%였으며 2년은 9.3%, 3년은 15.3%를 기록했다.
하지만 가이드라인 변경 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1년 누적 발생률이 2.6%, 2년이 5.4%, 3년이 7.9%로 대조군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쳤다.
비단 간세포암만 이런 경향을 보인 것은 아니었다. 간 이식이나 사망률 또한 큰 차이를 보였다.
간이식 누적 발생률을 비교하자 변경 전 가이드라인을 적용받은 환자는 1년 누적이 2.6%, 2년이 6.9%, 3년이 9.7%로 집계됐다.
반면 가이드라인이 변경된 후 환자들은 1년 0.9%, 2년 1.3%, 3년 4.8%로 이 역시 거의 절반에 불과했다.
결국 B형 간염 가이드라인 변경이 간세포암 발생과 간이식 위험, 사망률까지 절반 이하로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온 셈이다.
연구진은 "대한간학회의 가이드라인 변경이 B형 간염과 간경변 환자의 장기 임상 결과를 크게 개선했다는 것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며 "관리 지침의 적절한 변경이 고위험 환자의 치료 결과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이번 연구는 항 바이러스 요법에 있어 AST나 ALT와 같은 간 효소 수치에 대한 요구 조건을 낮추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할 수 있다"며 "항 바이러스 요법에 대한 시작 기준을 낮춘 조기 처방이 질병 진행을 상당히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AST(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수치에 관계없이 HBV DNA만으로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하도록 한 것이 상당한 효과를 거둔 셈이다.
2007년 가이드라인 2012년 변경…AST, ALT 수치 기준 삭제
오는 26일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는 B형 간염 가이드라인 변경이 간세포암 발병에 미친 영향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 연구 결과가 게재될 예정이다.
연세대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지난 2015년 간학회가 B형 간염 가이드라인을 변경한 것이 과연 간세포암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획됐다.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전 세계적으로 2억 4천만명이나 감염된 다발성 질환으로 만성 B형 간염의 경우 간경변 및 간세포암의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대한 1차 치료로는 엔테카비어나 테노포비어와 같은 경구용 항 바이러스 제제가 활용되지만 언제, 어떤 환자에게 이를 처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는 상황.
이에 따라 2007년 대한간학회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B형 간염에 대한 항 바이러스 요법의 개시 시기와 대상으로 HBV DNA가 2000IU/mL 이상이고 AST 및 ALT 수치가 40IU/L보다 높은 경우로 명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AST나 ALT 등 간 효소 수치가 B형 간염의 진행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며 이를 진단과 치료 시작의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또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간 섬유화가 심하게 나타난 환자는 오히려 거의 AST와 ALT 수치가 정상 범위를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 것도 사실이다.
이에 따라 간학회는 2012년 마침내 가이드라인을 개정하며 항 바이러스 요법 시작을 위한 조건으로 AST나 ALT 수치 기준을 완전히 삭제했다.
AST나 ALT 수치에 관계없이 HBV DNA가 2000IU/mL 이상이면 곧바로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하라는 권고. 이번 연구는 이러한 가이드라인 변경이 과연 실제 환자들에게 혜택을 가져왔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기반인 셈이다.
가이드라인 변경 상당한 효과…간세포암 위험 크게 낮춰
이에 따라 연구진은 이러한 가이드라인 개정에 맞춰 급여 기준이 변경된 2015년을 기준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항 바이러스 요법을 시작한 간경변 환자 429명을 대상으로 간세포암 위험을 분석했다.
지침 개정 전에 치료를 받은 군(196명)과 개정 이후 치료를 받은 환자(233)로 나눠 3개월에서 6개월마다 정기적인 검사를 진행하며 추적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항 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특성은 유사했지만 가이드라인 개정 이전에 시작한 환자는 AST가 52, ALT가 46, HBV DNA가 5.7로 개정 이후 환자에 비해 크게 높았다(AST 40, ALT 37, HBV DNA 5.1).
연구진이 추정한 대로 가이드라인 변경은 간세포암 발병 위험에도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변경 이전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이 개정 이후 진료를 받은 환자에 비해 간세포암 발병 위험이 1.9배나 높았기 때문이다.
간세포암의 누적 발생률 또한 마찬가지 경향을 보였다. 변경 전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받은 환자의 1년 누적 발생률은 4.1%였으며 2년은 9.3%, 3년은 15.3%를 기록했다.
하지만 가이드라인 변경 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1년 누적 발생률이 2.6%, 2년이 5.4%, 3년이 7.9%로 대조군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쳤다.
비단 간세포암만 이런 경향을 보인 것은 아니었다. 간 이식이나 사망률 또한 큰 차이를 보였다.
간이식 누적 발생률을 비교하자 변경 전 가이드라인을 적용받은 환자는 1년 누적이 2.6%, 2년이 6.9%, 3년이 9.7%로 집계됐다.
반면 가이드라인이 변경된 후 환자들은 1년 0.9%, 2년 1.3%, 3년 4.8%로 이 역시 거의 절반에 불과했다.
결국 B형 간염 가이드라인 변경이 간세포암 발생과 간이식 위험, 사망률까지 절반 이하로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온 셈이다.
연구진은 "대한간학회의 가이드라인 변경이 B형 간염과 간경변 환자의 장기 임상 결과를 크게 개선했다는 것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며 "관리 지침의 적절한 변경이 고위험 환자의 치료 결과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이번 연구는 항 바이러스 요법에 있어 AST나 ALT와 같은 간 효소 수치에 대한 요구 조건을 낮추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할 수 있다"며 "항 바이러스 요법에 대한 시작 기준을 낮춘 조기 처방이 질병 진행을 상당히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