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대사증후군학회, 국내 심혈관 지표 변화 자료 공개
2007년 22.5% 유병률, 2018년 27.9%로 증가

23일 심장대사증후군학회는 콘래드서울호텔에서 제4회 아시아·태평양 심장대사증후군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국내 심혈관의 주요 지표 변화를 살핀 2021년 팩트 시트(fact sheet)를 공개했다.
지표는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19세 이상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및 2005년 국가통계포털 자료를 기준으로 산출했다.
12년간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증가하는 추세(22.5%→27.9%)이며 특히 남자에서 증가가 두드러졌다. 남성은 2007년 22.5%로 시작해 2018년 27.9%로 증가한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20.8%에서 17.9%로 낮아졌다.
나이대로 비교하면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했으며 특히 남자는 20~40대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항목 중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의 유병률이 증가했으며 저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녀 모두 감소했다.
2016~2018년 기간만 살펴보면 19세 이상 성인 약 4명 중 1명(23%)이, 그리고 65세 이상 성인에서는 약 10명 중 5명(45.3%)이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었다.
여자는 연령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남자는 60대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항목 중 남자는 복부비만,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고혈당의 유병률이 여자에 비해 높고, 여자는 저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이 남자에 비해 높았다.
저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여성이 2007년 53.9%에서 2018년 33.8%로 감소했다. 남성은 31.1%에서 23.2%로 낮아졌다. 복부비만은 여성이 26.2%에서 20%로 낮아졌고, 남성은 25.8%에서 32.9%로 증가했다.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라 대사증후군 양상도 차이가 났다.
소득과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았고 흡연이나 고위험 음주자,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자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