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C학회, 규제 변화와 대응 주제로 학술대회 개최
"합리적 규제 근거 제시…산업-당국 가교 역할"
"마케팅은 학회가 잘 다루지 않던 주제다. 하지만 이제는 학문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학회가 이 부분을 고민하기 시작한 이유다."
포스트 코로나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서 학회들이 급변하는 규제상 및 적절한 대안을 담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전세계적인 유행이 규제 환경의 급격한 변혁을 초래한 만큼 온오프라인의 규제 불일치 및 비대면 임상 플랫폼의 적절성 여부 등 그간 학회가 다루지 않았던 주제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가 오는 18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급변하는 규제환경의 변화와 대응'을 주제로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코로나 팬데믹이 초래한 비대면 기조에서의 규제 조화에 초점을 맞췄다.
전진 배치한 '코로나 시대의 제약기업 디지털 마케팅'부터 '비대면 디지털헬스케어 전망과 규제 이슈',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정책 이슈' 세션은 대면을 근간으로 한 과거의 규제가 현 시대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고민의 산물이다.
손여원 회장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헬스케어 제품과 신개념 의료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가 필요하다"며 "우리 학회가 합리적인 규제 마련을 위해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바이오헬스가 국가적으로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했는데 바이오의약품부터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에서 일부 규제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며 "합리적 규제 방안이 없는지 고민하고자 하는 것이 법제 학회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 비대면 상황에서는 그동안 행해진 오프라인 기반 마케팅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며 "새로운 치료제, 백신, 비대면 임상 방식이 나오는 등 새로운 규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마케팅은 학회가 다루지 않던 주제다. 법제 학회는 오프라인 규제와 온라인 규제의 불일치 가능성을 부각시키고자 '제약기업 디지털 마케팅' 세션을 마련했다.
실제로 코로나19로 디지털화에 속도가 붙으면서 영업사원의 대면 중심 마케팅이 다양한 디지털 채널 활용으로 진화하고 있다.
문제는 디지털 마케팅에 오프라인 시대에 만들어진 법령을 적용할 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불합리한 규제'가 될 우려가 있다는 점.
이상원 학술위원장은 "코로나19 유행으로 다양한 백신, 치료제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며 "학술대회에서 백신 개발 동향을 업데이트하고, 더 나아가 긴급 사용 승인 형태로 승인된 약제들이 법적인 의미로 어떤 의미와 한계가 있는지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원격의료의 필요성 및 해외의 보험급여 사례들도 점검한다"며 "비대면 임상 플랫폼이 어디까지 왔고 제도 규정은 어떻게 변했는지, 코로나19 백신으로 불거진 특허면제에 대한 이슈도 다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 회장은 "법과 제도가 만들어질 때부터 합리적이고 이해가 돼야 사람들이 이를 지킨다"며 "학술대회가 토론과 발표로 끝나는게 아니라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까지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보통 학회들이 연구의 가치를 평가하는 임팩트 팩터에만 관심을 갖는데 우리는 다르다"며 "산업계와 규제당국이 함께 합리적 대안을 고민하는 자리를 만들어 세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학회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포스트 코로나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서 학회들이 급변하는 규제상 및 적절한 대안을 담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전세계적인 유행이 규제 환경의 급격한 변혁을 초래한 만큼 온오프라인의 규제 불일치 및 비대면 임상 플랫폼의 적절성 여부 등 그간 학회가 다루지 않았던 주제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가 오는 18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급변하는 규제환경의 변화와 대응'을 주제로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코로나 팬데믹이 초래한 비대면 기조에서의 규제 조화에 초점을 맞췄다.
전진 배치한 '코로나 시대의 제약기업 디지털 마케팅'부터 '비대면 디지털헬스케어 전망과 규제 이슈',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정책 이슈' 세션은 대면을 근간으로 한 과거의 규제가 현 시대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고민의 산물이다.
손여원 회장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헬스케어 제품과 신개념 의료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가 필요하다"며 "우리 학회가 합리적인 규제 마련을 위해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바이오헬스가 국가적으로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했는데 바이오의약품부터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에서 일부 규제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며 "합리적 규제 방안이 없는지 고민하고자 하는 것이 법제 학회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 비대면 상황에서는 그동안 행해진 오프라인 기반 마케팅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며 "새로운 치료제, 백신, 비대면 임상 방식이 나오는 등 새로운 규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마케팅은 학회가 다루지 않던 주제다. 법제 학회는 오프라인 규제와 온라인 규제의 불일치 가능성을 부각시키고자 '제약기업 디지털 마케팅' 세션을 마련했다.
실제로 코로나19로 디지털화에 속도가 붙으면서 영업사원의 대면 중심 마케팅이 다양한 디지털 채널 활용으로 진화하고 있다.
문제는 디지털 마케팅에 오프라인 시대에 만들어진 법령을 적용할 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불합리한 규제'가 될 우려가 있다는 점.
이상원 학술위원장은 "코로나19 유행으로 다양한 백신, 치료제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며 "학술대회에서 백신 개발 동향을 업데이트하고, 더 나아가 긴급 사용 승인 형태로 승인된 약제들이 법적인 의미로 어떤 의미와 한계가 있는지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원격의료의 필요성 및 해외의 보험급여 사례들도 점검한다"며 "비대면 임상 플랫폼이 어디까지 왔고 제도 규정은 어떻게 변했는지, 코로나19 백신으로 불거진 특허면제에 대한 이슈도 다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 회장은 "법과 제도가 만들어질 때부터 합리적이고 이해가 돼야 사람들이 이를 지킨다"며 "학술대회가 토론과 발표로 끝나는게 아니라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까지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보통 학회들이 연구의 가치를 평가하는 임팩트 팩터에만 관심을 갖는데 우리는 다르다"며 "산업계와 규제당국이 함께 합리적 대안을 고민하는 자리를 만들어 세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학회가 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