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학술팀 문성호 기자
디지털 치료제, 의료 AI,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원격진료 서비스까지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가 본격 도래 했다.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했던 산업계에는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하는 기업이 출현하는가 하면 향후 상업화를 염두하고 제약‧바이오업계 중심 대기업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향후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 상업화 시 영업‧마케팅을 통한 의약품과의 연계를 염두하고 관련 분야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는 형국이다.
여기에 정부와 국회는 관련 기업들이 커 나갈 수 있도록 수가제도 등의 개선과 함께 법 개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바야흐로 디지털 헬스케어에 돈도 몰리고 정부도 지원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의학계도 반응하고 있다.
'디지털'을 표방한 학술단체가 하나 둘 씩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기존 의료정보에 더해 디지털 치료, 디지털 헬스 연구를 자처하는 학회가 최근 창립을 선언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전반 혹은 특정 분야의 검증과 학술적 연구를 통해 의학계의 목소리를 대변하겠다는 것이 이들 학회가 내세운 창립 이유다.
일단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중심으로 한 산업계와 정부, 마지막 의학계까지 소위 '생태계'가 마련됐다는 데에서는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의료계 모든 이슈를 뒤덮을 만한 '원격의료' 논란이라는 큰 산을 넘어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동일한 목표 아래 산업계와 정부에 이어 의학계도 응답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둬야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관련 학회들은 분명히 알아둬야 할 것이 있다.
유사한 학회가 중복 창립한 것 아니냐는 산업계 중심의 지적도 있는데, 이는 각자 학회들이 앞으로 자신들이 천명한 목표들을 충실하게 이행해 산업계와 정부가 원하는 기기 및 치료제 검증과 학술적 연구를 해나가면 될 일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의료계 '설득'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의견도 많지만 원격의료 활성화라는 우려 속에서 이를 반대하는 의료계의 목소리도 여전하다는 것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속 학술연구를 자처한 학회들은 연구와 동시에 의료계 내부를 설득할 만한 '한국형 맞춤 디지털 헬스케어' 모델을 제시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바라보는 변화된 인식 속에서 산업계가 아닌 의사 주도로 이끌어가겠다는 학회들의 움직임은 분명 긍정적 신호다. 개원가를 포함한 의료계 다수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대안 제시를 기대해본다.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했던 산업계에는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하는 기업이 출현하는가 하면 향후 상업화를 염두하고 제약‧바이오업계 중심 대기업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향후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 상업화 시 영업‧마케팅을 통한 의약품과의 연계를 염두하고 관련 분야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는 형국이다.
여기에 정부와 국회는 관련 기업들이 커 나갈 수 있도록 수가제도 등의 개선과 함께 법 개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바야흐로 디지털 헬스케어에 돈도 몰리고 정부도 지원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의학계도 반응하고 있다.
'디지털'을 표방한 학술단체가 하나 둘 씩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기존 의료정보에 더해 디지털 치료, 디지털 헬스 연구를 자처하는 학회가 최근 창립을 선언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전반 혹은 특정 분야의 검증과 학술적 연구를 통해 의학계의 목소리를 대변하겠다는 것이 이들 학회가 내세운 창립 이유다.
일단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중심으로 한 산업계와 정부, 마지막 의학계까지 소위 '생태계'가 마련됐다는 데에서는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의료계 모든 이슈를 뒤덮을 만한 '원격의료' 논란이라는 큰 산을 넘어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동일한 목표 아래 산업계와 정부에 이어 의학계도 응답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둬야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관련 학회들은 분명히 알아둬야 할 것이 있다.
유사한 학회가 중복 창립한 것 아니냐는 산업계 중심의 지적도 있는데, 이는 각자 학회들이 앞으로 자신들이 천명한 목표들을 충실하게 이행해 산업계와 정부가 원하는 기기 및 치료제 검증과 학술적 연구를 해나가면 될 일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의료계 '설득'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의견도 많지만 원격의료 활성화라는 우려 속에서 이를 반대하는 의료계의 목소리도 여전하다는 것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속 학술연구를 자처한 학회들은 연구와 동시에 의료계 내부를 설득할 만한 '한국형 맞춤 디지털 헬스케어' 모델을 제시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바라보는 변화된 인식 속에서 산업계가 아닌 의사 주도로 이끌어가겠다는 학회들의 움직임은 분명 긍정적 신호다. 개원가를 포함한 의료계 다수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대안 제시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