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최초 CNT X-ray 상용화 기술 우수성 인정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기술대상은 기술 성과와 산업 파급력이 뛰어난 기술을 개발한 기업, 연구소를 대상으로 정부가 시상하는 국내 최고 권위 기술상이다.
바텍은 탄소나노 소재를 활용(CNT)한 X-ray 튜브를 의료분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해 포터블 엑스레이 제품에 적용한 기술력을 높게 인정받았다.
바텍이 상용화한 CNT X-ray 튜브는 디지털 엑스레이를 발생시키는 주요 부품으로 기존에 국내 X-ray 시장은 아날로그 방식의 열전자 튜브를 해외로부터 전량 수입해 사용해왔다.
금속선인 필라멘트에 2,300도 이상의 고전압을 가해 엑스레이가 발생되는데, 예열 시간이 필요하고 이 때 방사선이 나와 환자와 의료진이 촬영 전부터 불필요하게 피폭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이를 보완하는 CNT X-ray가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아 왔으나 양산하기까지 제반 기술 난이도가 높아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이 전세계적으로도 극히 드물다.
바텍은 2016년 업계 최초로 CNT X-ray 튜브를 상용화하며 연구개발·설계·생산 전단계를 내재화했다. CNT X-ray 튜브를 탑재한 제품 이지레이 에어(EzRay Air) 시리즈는 디지털 전기 신호로 엑스레이를 즉각적으로 제어하여 X-ray 조사 준비 과정에서 불필요한 피폭 염려가 없으며 시중 제품보다 작고 가볍다는 장점으로 출시 이후 전세계 2만 5천여 의료기관에 판매된 바 있다.
바텍 관계자는 "CNT X-ray 기술을 치과 영역 외 다양한 의료, 산업용 분야에 응용할 계획"이라며 "지난 4월에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2021년 지능형 휴대수하물 보안검색 기술 개발사업을 수주하며 보안검색 분야로 사업을 확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