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피셜 위드코로나 위기극복 대안 급부상한 재택치료 A to Z
의원급 대상 확대에 개원가 '글쎄'…참여 병원들 "이미 과부하"
보건복지부 권덕철 장관이 지난 29일, 기존 '입원' 중심의 코로나19 치료체계를 '재택치료'로 전환한다고 발표하면서 향후 코로나19 의료체계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의료계 일각에선 "상급종합병원 병상 운영이 임계점에 달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보고 있지만 또 한편에서는 "재택치료 확대에 대한 준비없이 무작정 전환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복지부의 코로나19 대응 의료체계 전환 배경과 향후 재택치료 세부 방안을 살펴볼까요.
■갑자기 왜 재택치료 원칙으로 전환했나=최근 연일 신규 확진자 수가 4천명 안팎을 넘나들고 있죠. 게다가 위중증 환자가 연일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처럼 일단 입원시키고 보는 의료체계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정부는 판단한 겁니다.
실제로 상급종합병원 상당수가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에 나서고 있지만 사실 해당 병원들은 코로나 이전에도 암 등 중증환자로 늘 병상이 꽉 차 있던 병원인데요.
병상 수는 정해져 있고 비코로나 중증환자도 살려야 하는데 무작정 코로나19 환자를 위한 병동을 계속 내놓으라고 할 수도 없는게 현실이죠. 결국 의료대응체계를 급선회 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병상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복지부 권덕철 장관도 지난 29일, 병상확보 추가 행정명령을 예고했는데요. 현재 위중증환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보니 병상확보와 재택치료 확대 투트랙을 동시에 가동하게 되는 것이지요.
■현재 재택치료 현황은?=복지부가 지난 10월 8일 재택치료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총 9700명이 관리 중으로 11월 30일 기준 신규 확진자의 57.9%가 재택치료를 받고 있는데요.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보니 재택치료 또한 지역별 온도차가 큽니다. 11월 4주차의 경우 수도권에 재택치료자는 1039명인데 비해 비수도권은 66명에 그치는 수준이죠.
현재는 전국 시군구(257개)에 전담조직을 구성했으며 관리의료기관은 총 196개소(수도권 69곳, 비수도권 127곳)가 운영 중이며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 4곳, 종합병원 113곳, 병원 75곳, 의원 4곳입니다.
■재택치료 대상 확대됐나?=지난 10월, 복지부가 처음 재택치료 확대방안을 언급했을 때 대비 가장 큰 변화는 대상이겠죠. 지난 11월 26일 기준으로 재택치료로 전면 확대했으니까요.
기존에는 입원요인이 없는 70세 미만의 무증상 경증 확진자 중에 재택치료를 동의한 자만 대상으로 재택치료를 했었죠. 그러니까 70세 미만이면서 동시에 무증상 및 경증이어야 하고 그중에서도 재택치료에 동의를 해야만 재택치료가 가능한 겁니다.
하지만 11월 26일을 기점으로는 일단 모든 코로나19 확진자를 재택치료 대상으로 보고, 입원요인이 있는 경우에만 혹은 감염에 취약한 주거환경인 경우에만 입원치료를 받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지금까지는 제한적으로 재택치료를 적용했다면 이제부터는 제한적으로 입원치료를 적용하게 되는 셈이지요. 환자 분류는 일차적으로 보건소가 맡고 입원요인 여부는 보건소 또는 관리의료기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진행됩니다.
■재택치료 어떻게 진행되나?= 일단 확진자는 재택치료키트(산소포화도 측정기, 체온계, 해열제, 소독용품 등)를 배송 받는 것부터 시작하고, 이후 관리 의료기관을 지정 받으면 건강모니터링을 받고 비상연락망도 받게 됩니다.
이번에 재택치료 전면 전환하면서 가장 큰 변화는 단기외래진료체계를 마련한 건데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재택치료자의 증상이 악화됐을 때, 코로나 전담병원 이전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또 하나의 트랙을 만든 겁니다.
단기외래진료센터에서는 대면진료, 혈액검사, 흉부X선 촬영, CT촬영, 처방, 항체치료제(렉키로나주) 투약 등 필요한 진료 실시하게 됩니다.
■단기외래진료센터 신설 왜?= 재택치료 확대된 것도 혼란스러운데 단기외래진료센터는 또 뭔가 싶죠? 간단합니다. 재택치료 중에 증상 악화로 세밀한 진료 혹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잖아요. 그때 이용하라는 겁니다.
물론 중증인 경우에는 전담병원 등 응급 이송하겠지만 그 정도는 아니지만 불안해서 진료를 받고 싶을 때 병상에 부담은 안주면서 진료받을 수 있는 트랙을 만든거죠.
앞서는 단기진료센터가 있었는데요. 당시 1박2일 정도 머무르면서 치료를 받는 병상 개념만 있었는데 여기에 외래에서 검사 및 진료를 받고 다시 재택으로 돌아가는 기존과는 또 다른 시스템을 추가한 겁니다.
그럼 어떤 의료기관이 단기외래진료센터 역할을 맡게 되느냐가 궁금해지는데요. 일단 확진자 동선분리가 가능하고 음압격리실 등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진료환경이 구축돼 있어야겠죠. 정부는 감염병전담병원·호흡기 전담클리닉 등 의료기관 중 희망하는 기관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현재 경기도에는 9개소(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3개 민간 거점전담병원) 오픈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고 서울, 인천은 설치 중인데요. 정부는 12월초까지 단기외래진료센터를 권역별로 1개 이상 설치한다는 계획입니다.
■개원가 확대는 아직?=복지부가 재택치료 원칙으로 코로나19 의료대응체계를 급선회하면서 의료기관을 개원가까지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막상 아직은 정부도 개원가도 숙고 중인 분위기입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면 확대로 변경했지만 개원가까지 확대하는 것은 아직 검토 중"이라고 답했는데요. 이유인 즉, 야간시간에 해당 환자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재택치료는 24시간 특히 야간시간대 온콜이 가능한 병원급 이상이 주로 참여 중이죠. 만약 개원가에서 참여한다면 낮시간에는 모니터링이 가능하지만 야간에는 공백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구조죠. 그렇다고 야간시간에만 보건소, 병원 등에 인계하는 것 또한 꽤나 복잡한 작업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입장이 애매하기는 개원가도 마찬가지 입니다. 낮시간대 외래를 중심으로 하는 동네의원에서 24시간 온콘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주간에만 실시하는 재택치료 모형이라면 상당수 개원의가 참여하겠지만 야간까지 커버해야 한다면 참여자가 희박할 것이라는 게 개원의들의 전언입니다.
하지만 현재 병원에만 의존해 있는 재택치료 체계로 버틸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재택치료에 참여 중인 A병원의 경우 한달 전, 제도 첫 시행 당시 환자 수는 20명 수준에서 11월 30일 현재, 160명까지 급증한 상황입니다. 이처럼 단기간 내에 환자 수가 8배 폭발적으로 늘면서 전담 간호사도 9명까지 늘리면서 계속 충원 중이지만 업무 과부하가 극심하다고 합니다.
사실 해당 병원들은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재택치료' 제도를 위해 추가 인력을 무한대로 채용할 수도 없다는 게 그들의 속사정입니다. 병원들의 참여를 확대하려면 일선 의료기관들이 뛰어들 수 있는 동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의료계 일각에선 "상급종합병원 병상 운영이 임계점에 달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보고 있지만 또 한편에서는 "재택치료 확대에 대한 준비없이 무작정 전환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복지부의 코로나19 대응 의료체계 전환 배경과 향후 재택치료 세부 방안을 살펴볼까요.
■갑자기 왜 재택치료 원칙으로 전환했나=최근 연일 신규 확진자 수가 4천명 안팎을 넘나들고 있죠. 게다가 위중증 환자가 연일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처럼 일단 입원시키고 보는 의료체계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정부는 판단한 겁니다.
실제로 상급종합병원 상당수가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에 나서고 있지만 사실 해당 병원들은 코로나 이전에도 암 등 중증환자로 늘 병상이 꽉 차 있던 병원인데요.
병상 수는 정해져 있고 비코로나 중증환자도 살려야 하는데 무작정 코로나19 환자를 위한 병동을 계속 내놓으라고 할 수도 없는게 현실이죠. 결국 의료대응체계를 급선회 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병상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복지부 권덕철 장관도 지난 29일, 병상확보 추가 행정명령을 예고했는데요. 현재 위중증환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보니 병상확보와 재택치료 확대 투트랙을 동시에 가동하게 되는 것이지요.
■현재 재택치료 현황은?=복지부가 지난 10월 8일 재택치료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총 9700명이 관리 중으로 11월 30일 기준 신규 확진자의 57.9%가 재택치료를 받고 있는데요.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보니 재택치료 또한 지역별 온도차가 큽니다. 11월 4주차의 경우 수도권에 재택치료자는 1039명인데 비해 비수도권은 66명에 그치는 수준이죠.
현재는 전국 시군구(257개)에 전담조직을 구성했으며 관리의료기관은 총 196개소(수도권 69곳, 비수도권 127곳)가 운영 중이며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 4곳, 종합병원 113곳, 병원 75곳, 의원 4곳입니다.
■재택치료 대상 확대됐나?=지난 10월, 복지부가 처음 재택치료 확대방안을 언급했을 때 대비 가장 큰 변화는 대상이겠죠. 지난 11월 26일 기준으로 재택치료로 전면 확대했으니까요.
기존에는 입원요인이 없는 70세 미만의 무증상 경증 확진자 중에 재택치료를 동의한 자만 대상으로 재택치료를 했었죠. 그러니까 70세 미만이면서 동시에 무증상 및 경증이어야 하고 그중에서도 재택치료에 동의를 해야만 재택치료가 가능한 겁니다.
하지만 11월 26일을 기점으로는 일단 모든 코로나19 확진자를 재택치료 대상으로 보고, 입원요인이 있는 경우에만 혹은 감염에 취약한 주거환경인 경우에만 입원치료를 받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지금까지는 제한적으로 재택치료를 적용했다면 이제부터는 제한적으로 입원치료를 적용하게 되는 셈이지요. 환자 분류는 일차적으로 보건소가 맡고 입원요인 여부는 보건소 또는 관리의료기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진행됩니다.
■재택치료 어떻게 진행되나?= 일단 확진자는 재택치료키트(산소포화도 측정기, 체온계, 해열제, 소독용품 등)를 배송 받는 것부터 시작하고, 이후 관리 의료기관을 지정 받으면 건강모니터링을 받고 비상연락망도 받게 됩니다.
이번에 재택치료 전면 전환하면서 가장 큰 변화는 단기외래진료체계를 마련한 건데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재택치료자의 증상이 악화됐을 때, 코로나 전담병원 이전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또 하나의 트랙을 만든 겁니다.
단기외래진료센터에서는 대면진료, 혈액검사, 흉부X선 촬영, CT촬영, 처방, 항체치료제(렉키로나주) 투약 등 필요한 진료 실시하게 됩니다.
■단기외래진료센터 신설 왜?= 재택치료 확대된 것도 혼란스러운데 단기외래진료센터는 또 뭔가 싶죠? 간단합니다. 재택치료 중에 증상 악화로 세밀한 진료 혹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잖아요. 그때 이용하라는 겁니다.
물론 중증인 경우에는 전담병원 등 응급 이송하겠지만 그 정도는 아니지만 불안해서 진료를 받고 싶을 때 병상에 부담은 안주면서 진료받을 수 있는 트랙을 만든거죠.
앞서는 단기진료센터가 있었는데요. 당시 1박2일 정도 머무르면서 치료를 받는 병상 개념만 있었는데 여기에 외래에서 검사 및 진료를 받고 다시 재택으로 돌아가는 기존과는 또 다른 시스템을 추가한 겁니다.
그럼 어떤 의료기관이 단기외래진료센터 역할을 맡게 되느냐가 궁금해지는데요. 일단 확진자 동선분리가 가능하고 음압격리실 등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진료환경이 구축돼 있어야겠죠. 정부는 감염병전담병원·호흡기 전담클리닉 등 의료기관 중 희망하는 기관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현재 경기도에는 9개소(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3개 민간 거점전담병원) 오픈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고 서울, 인천은 설치 중인데요. 정부는 12월초까지 단기외래진료센터를 권역별로 1개 이상 설치한다는 계획입니다.
■개원가 확대는 아직?=복지부가 재택치료 원칙으로 코로나19 의료대응체계를 급선회하면서 의료기관을 개원가까지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막상 아직은 정부도 개원가도 숙고 중인 분위기입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면 확대로 변경했지만 개원가까지 확대하는 것은 아직 검토 중"이라고 답했는데요. 이유인 즉, 야간시간에 해당 환자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재택치료는 24시간 특히 야간시간대 온콜이 가능한 병원급 이상이 주로 참여 중이죠. 만약 개원가에서 참여한다면 낮시간에는 모니터링이 가능하지만 야간에는 공백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구조죠. 그렇다고 야간시간에만 보건소, 병원 등에 인계하는 것 또한 꽤나 복잡한 작업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입장이 애매하기는 개원가도 마찬가지 입니다. 낮시간대 외래를 중심으로 하는 동네의원에서 24시간 온콘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주간에만 실시하는 재택치료 모형이라면 상당수 개원의가 참여하겠지만 야간까지 커버해야 한다면 참여자가 희박할 것이라는 게 개원의들의 전언입니다.
하지만 현재 병원에만 의존해 있는 재택치료 체계로 버틸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재택치료에 참여 중인 A병원의 경우 한달 전, 제도 첫 시행 당시 환자 수는 20명 수준에서 11월 30일 현재, 160명까지 급증한 상황입니다. 이처럼 단기간 내에 환자 수가 8배 폭발적으로 늘면서 전담 간호사도 9명까지 늘리면서 계속 충원 중이지만 업무 과부하가 극심하다고 합니다.
사실 해당 병원들은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재택치료' 제도를 위해 추가 인력을 무한대로 채용할 수도 없다는 게 그들의 속사정입니다. 병원들의 참여를 확대하려면 일선 의료기관들이 뛰어들 수 있는 동력(?)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