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텍 이어 비스토스 등 스팩 합병 통해 상장 기업 등극
수요예측 등 참패 영향 분석…"당분간 흐름 이어질 것"
최근 전 세계적으로 투자 경색이 지속되며 IPO(기업공개) 시장이 무너지자 스팩(SPAC)을 통한 사실상의 우회 상장을 노리는 의료기기 기업들이 늘고 있다.
IPO보다는 손쉽게 증시에 상장할 수 있는데다 수요예측 등의 과정이 없어 리스크가 적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는 것.
특히 대어로 꼽히던 기업들마저 IPO 흥행에 실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9일 의료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의료기기 기업들이 스팩 합병을 통해 속속 증시에 입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최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SK5호 스팩과의 합병을 결정한 생체신호 의료기기 기업 비스토스다.
스팩은 합병이 결정되는 즉시 상장 절차에 들어간다는 점에서 비스토스는 이미 코스닥 입성을 사실상 확정한 상황.
이에 따라 SK5호 스팩은 주식회사 비스토스로 변경돼 오는 10월 18일 신주 형식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게 된다.
특히 이번 합병에서 눈에 띄는 점은 스팩 사상 최초로 소멸 방식을 택했다는 점이다. 과거 스팩 합병 방식의 경우 비상장기업이 소멸하면서 이미 상장되어 있는 스팩을 법인으로 존속시키는 방식을 취해왔다.
하지만 이번에 비스토스는 스팩을 소멸하고 비스토스 법인을 존속시키는 소멸 합병 방식을 택했다. 비스토스의 법인이 유지되는 만큼 이 법인으로 취득한 특허와 판매 허가 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법인은 그대로 둔 채 스팩의 자금을 그대로 흡수하는 개념인 셈이다.
이렇듯 스팩 방식으로 증시에 상장한 것은 비스토스 뿐만이 아니다. 최근 IPO 환경이 척박해지면서 스팩을 활용해 상장하는 기업들은 늘고 있는 추세다.
레이저 의료기기 기업인 원텍 또한 대신밸런스8호 스팩과 합병을 통해 올해 증시에 안착한 케이스다.
원텍은 지난해 말부터 스팩과의 합병 절차를 추진해 지난 6월 30일 합병 등기를 끝내며 주식회사 원텍의 이름으로 신주를 상장했다.
수차례 IPO를 타진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자 곧바로 스팩 합병으로 방향을 바꿔 마침내 증시에 입성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듯 의료기기 기업들이 IPO가 아닌 스팩 합병으로 방향을 틀고 있는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전 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투자 경색 구조 속에서 그나마 상대적으로 쉽게 상장할 수 있는 루트로 스팩이 주목받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비상장 기업 입장에서 최소한의 리스크로 상장 효과를 누릴 수 있는데다 투자자 입장에서도 투자금 회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당분간 이러한 흐름은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
스팩 합병의 경우 IPO와 같이 수요예측 등의 단계가 없이 가격대가 맞는 스팩을 정해 합병 절차만 밟으면 된다는 점에서 사실상 우회 상장과 같은 루트로 증시에 입성할 수 있다.
말 그대로 수요예측 흥행을 통해 대박을 터트릴 수는 없지만 최소한의 리스크로 안정되게 자금을 흡수하며 증시에 올라설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최근 루닛과 보로노이 등 등 IPO 시장의 초대어로 꼽히던 기업들이 수요예측에 참패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루닛과 보로노이 등은 수요예측에서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들고 공모가를 수차례나 낮춘 끝에 증시에 입성한 바 있다. 이로 인해 밸류에이션 또한 급격하게 쪼그라들며 흥행에 참패했다.
A투자기업 관계자는 "수조원대 밸류에이션이 예상되던 기업들마저 흥행에 참패한 것이 스팩으로 눈을 돌리는 결정적 계기가 됐을 수 있다"며 "IPO에 도전할 만큼은 되지만 경쟁력을 자신할 수 없는 비상장 기업의 경우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듯 투자자 측면에서도 베팅을 해야 하는 IPO보다는 안정적 공모와 엑시트가 가능한 스팩으로 자금을 옮기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당분간 이러한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