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연구과제, 3년간 80억원 지원…국내 11개 병원과 기업 공동참여

경북대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이윤정 교수팀이 '소아희귀질환의 진단, 치료, 예후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AI 통합 솔루션 개발'에 참여한다고 6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과제로 선정되어 향후 3년간 80억 원을 지원받는다. 사업에는 서울대병원 및 국내 11개 병원과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현재까지 규명된 희귀질환은 약 7000여 종이며 이 중 80%가량이 유전자 이상에 의한 질환으로, 많은 경우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하지만 질환의 다양성과 희귀성으로 인해 경험 많은 전문가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진단까지 평균 5~7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희귀질환의 70~80%가 소아에게 발병하며 대부분 단기간에 완치할 방법이 없고 30% 이상의 소아 환자가 5세 전에 조기 사망할 위험이 매우 높은 경우가 많다. 생존하더라도 평생 관리가 필요하다.
이번 개발 과제는 9개 소아 희귀질환군의 특성에 따른 임상 정보 및 유전체 정보 통합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소아 희귀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고, 빠른 치료 기회를 제공하며 적절한 환자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있다.
9개 소아 희귀질환군은 ▲희귀유전대사질환 ▲선천성 다발기형 ▲뇌신경질환 ▲유전성심장질환 ▲유전성신장질환 ▲염증성장질환 ▲선천성 면역결핍질환 ▲소아혈액종양질환 ▲유전성근병증질환이다.
소아희귀질환 분야의 AI 통합 솔루션 도입은 검사 및 치료 기간의 감소, 진료 프로세스의 단축, 의료 접근성의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윤정 교수는 "지역 사회의 많은 희귀질환 환자의 진단, 치료, 질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