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이제환 교수, 빅시오스 도입 치료기회 확대 평가
"고형암 위주 위원 구성, 급여 논의 늦어져" 심평원 암질심 겨냥해
우리나라도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면서 60~65세 이상 고령에서 많이 발병하는 혈액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혈액학회 등에 따르면, 급성골수성백혈병(AML, Acute Myeloid Leukemia)의 경우 성인의 급성 백혈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최근 20년간 발병률이 10배 이상 증가하면서 국내 신규환자만 한 해 1500~2000명 발생하고 있다.
특히 AML 중 고위험 급성골수성백혈병(high-risk AML)에 해당하는 환자만 절반 이상인 1000~1500명으로 평가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분야로 꼽히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해당 분야 신약이 국내 허가를 받으면서 해당 환자들의 치료 기회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메디칼타임즈는 13일 대한혈액학회 이사장을 지낸 울산의대 이제환 교수(서울아산병원 혈액내과)를 만나 high-risk AML 증상 및 치료방법과 함께 신약 도입을 위한 과제를 들어봤다.
50년 된 치료법 대체할 신약 등장
AML 중 high-risk AML에 해당하는 것은 '치료 관련 급성골수성백혈병(t-AML)'과 '골수이형성증 관련 변화를 동반하는 급성골수성백혈병(AML-MRC)'로 분류된다. 전체 AML 환자의 3분의 1을 넘어설 정도며, 의학계에서는 치료 예후가 특히 좋지 않은 질환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제환 교수는 "AML을 앓는 신규 환자가 1년에 약 1500~2000명 정도 발생하는데, 이 중 high-risk AML 환자는 1000~1500명 정도"라며 "고령화로 인해 앞으로 환자 수가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암 환자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더 많은 환자가 생겨날 수 있다"며 "치료가 발전할수록 AML 환자 수가 많아지게 되는 것인데,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Myelodysplastic syndromes)에서 AML로 넘어가는 비율이 늘어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AML 치료 방법으로는 집중 항암화학요법(intensive chemotherapy)과 방사선치료, 조혈모세포이식이 있다. 이중 집중 항암화학요법은 백혈병 세포를 없애 정상적인 혈액을 만들어내는 상태인 '관해'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가장 먼저 하게 되는 치료다.
국내 임상 현장에서는 현재 집중 항암화학요법으로 '7+3 요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안트라사이클린(Anthracyclines) 계열 약제를 3일간 투여하고 시타라빈(Cytarabine)을 7일간 투여하기 때문에 7+3요법으로 불리고 있다.
문제는 7+3요법이 1970년대부터 사용된 오래된 치료법이라는 점이다. 이 가운데 최근 국내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빅시오스(다우노루비신+시타라빈) 허가돼 50년 된 치료법을 대체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제환 교수는 "7+3이라는 골격이 초기 치료로 세계적으로 많이 쓰여왔다. 하지만 두 성분을 따로 투여하면 각각 분해가 되면서 세포 내로 실제 들어갔을 때 일정하기 유지가 되지 않는 다는 점이 있다"며 "빅시오스 같은 신약이 나오게 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또 이제환 교수는 "관해요법을 하면 보통 70%~80%에서 완전 관해율을 보이지만, 't-AML'과 'AML-MRC'은 예후가 좋지 않고 완전 관해율도 20~30%로 매우 낮다"며 "결국 조혈모세포이식까지 갈 수 있는 환자가 굉장히 적다. 빅시오스는 이러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관해율도 높이고 전체 생존율도 증가시켰다는 점에서 조혈모세포이식까지 갈 수 있는 환자들의 치료 기회가 확대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혈액암 소외 논란 속 '급여' 적용 관건
이 가운데 이제환 교수는 AML 치료 신약 등장에도 불구하고 허가 후 급여 적용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황을 우려했다.
이는 중증질환 신약의 국내 허가 시 항상 문제로 제시됐던 부분.
빅시오스를 언급하며 이제환 교수는 "high-risk AML에 해당하는 t-AML과 AML-MRC은 재발 치료가 아니라 초치료이기 때문에 급여가 안 되면 치료가 상당히 어렵다"며 "환자에게 AML이라고 설명한 뒤 신약이 있는데 비급여로 약값 부담이 크다고 말하기 굉장히 어렵다. 치료제가 있어도 급여가 안 되면 현장의 어려움이 매우 크다"고 아쉬워했다.
다만, 이제환 교수는 상대적으로 혈액암 치료제들이 급여 논의 과정에서 고형암 치료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려나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혈액암 치료제가 고가라는 점도 이유가 될 수 있지만, 급여 논의에 있어 첫 관문이자 가장 큰 허들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회(이하 암질심)의 위원회 구성을 문제 삼은 것이다.
이제환 교수는 "혈액암 치료제들이 급여가 늦어지는 이유는 암질심 등 논의기구 구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주로 고형암을 보는 의료진 위주로 구성돼 있다 보니 혈액암에 대한 이해가 낮다"며 "이로 인해 혈액암 치료제 급여가 늦어지고 있다. 그래서 혈액학회에서도 관련된 의견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혈액 및 종양내과를 통합해 암질심이 구성되면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으며, 급여가 되더라도 기준이 아주 제한적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며 "암이 아닌 경우는 혈액 질환은 일반 질환으로 들어가고 있다. 혈액 질환을 전담하는 논의기구가 만들어져 이를 커버해줘야지 합리적인 급여와 수가가 결정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결국 이 같은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혈액암 치료제들이 상대적으로 국내 임상현장 활용이 늦어지고 있다는 것이 이제환 교수의 평가다.
이제환 교수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우리나라에 치료제를 출시하는 것을 제일 늦게 하게 된다. 결국 우리 환자들이 피해를 입게 된다"며 "표적치료제들이 많이 발전했고, 혈액암의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혈액암 치료제의 급여 논의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