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류한정
비건(vegan)은 카데바 실습 중 나에게 찾아왔다. 모든 의과대학 학생들은 학생때 한 번쯤 포르말린 용액으로 보존처리된 시신을 해부하며 해부학적 구조를 공부하는 '카데바 실습'을 하게 된다.
우리 학교의 경우 본과 1학년 1학기 중순에 시작하여 약 2주간 진행되었다. 즉, 아침 9시부터 시작해 점심시간 한 시간을 제외하고는 하루종일 카데바를 들여다보며 인체 구조를 공부하는 것이다.
실습은 매우 흥미로웠고 어디서도 경험할 수 없는 많은 지식을 배울 수 있었지만 별개로 나는 점점 밥을 먹을 수 없게 되었다. 가장 큰 문제는 어디서든 진동하는 포르말린 냄새 때문에 입맛이 사라졌기 때문이었다.
둘째로는 그 덕분에 내가 먹는 모든 것들을 '의식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항상 생각 없이 입에 집어넣었던 맛있는 음식들을 찬찬히 들여다보니 보이지 않던 것들이 객관적으로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순두부찌개에는 순두부와 잘게 썰어놓은 야채, 양념뿐만 아니라 축 처진 작은 새우들, 다져진 고기, 돼지기름 등이 국물 속에 섞여 있었다. 이런 세심한 관찰을 통해 음식을 바라보니 모든 것이 이질적으로 느껴졌고, 겨우 쌀밥을 먹거나 야채 몇 조각을 먹을 수 있을 뿐이었다.
당시에는 몰아치는 실습 속에서 틈틈이 등장하는 식사시간마다 혼란스러운 죄책감이 들어서 복잡했다. 감히 고기가 시신의 근육조직과 비슷하다고 생각한 스스로를 불경스럽다고 느끼기도 했는데 어쨌든 음식들은 전혀 내 식욕을 돋구지 못했다. 그리고 음식들을 그저 바라보며 내가 지금 무엇을 하는 건지, 무엇을 해야 할지 쉬이 결단을 내리지 못했다.
밥을 못 먹어 시름시름 해지다 보니 대책을 세워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현재 내가 그나마 먹을 수 있는 것들을 생각해보니 대체로 깔끔한 맛을 내는 채소류였고, 식사를 채소류로 채우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채식주의와 비거니즘에 대해 알게 되었고 여러 비건 서적과 다큐멘터리를 섭렵하였다. 살면서 이름만 들어보았지 전혀 신경쓰지 않은 분야였는데 검색하면 할수록 의외로 스스로의 자리에서 조용히 채식을 실천하고 계신 분들이 참 많았고 심지어 채식하는 보디빌더도 존재했다. 그 방대한 양에 놀라 나는 한참 그 체계와 정의 같은 것들을 찾아봤다.
내 인생에 새로 찾아온 신념을 받아들이고 정립해나가는 과정은 우당탕탕 좌충우돌 그 자체였다. 처음에는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에 100% 채식 식단이 아니면 먹지 않아 쫄쫄 굶을 때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 내 상황에서 콩을 삶아 먹는 등의 식물성 단백질 섭취는 어렵다는 판단이 들어서 달걀과 닭고기, 일부 해산물까지는 허용하고 유제품, 날생선, 소고기, 돼지고기 등은 먹지 않는 기준을 세워 비건을 지향하는 중이다. 지금도 나는 배우는 중이며 앞으로도 시행착오를 거치며 가장 내 몸과 마음에 편안한 채식 식사는 무엇인지 찾아갈 예정이다.
채식을 시작한 뒤로 동물권이나 환경에 대한 관심도 지대해져서 내가 의도치 않게 일상적으로 해를 끼치고 있는 여러 요소를 알게 되었다. 하지만 모든 것을 고려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현재 나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 만큼 실천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인조모피 대신 가죽모피를 입고, 식당에서는 일회용기 대신 다회용기를 사용해 음식을 포장해온다.
실습이 끝나고 6개월 정도가 지난 지금, 고기를 보자마자 실습의 기억이 생생하게 떠오르는 단계는 지났지만, 이제는 내 '의지로' 고기를 지양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덩어리와 맛, 향에서 내가 기피하는 것을 골라내는 것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뒤에 써진 영양성분표와 구성 재료들을 보면서 보이지 않는 유제품 등이 포함된 것은 아닌지 꼭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
식사할 때마다 신념을 지킨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이를 지킬 때마다 느껴지는 안도감과 몸을 감싸는 충족감은 새로운 행복을 가져다주었다. 내년에는 더 많은 사람이 매력적인 비건의 맛을 경험하며 더 큰 자유와 행복을 경험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