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김영태 교수팀 성공..종양표지자 수치 정상

세브란스병원 김영태 교수팀은 지난 2006년 1월부터 최근까지 복부로 재발된 말기 난소암 환자 25명에게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2차 재발을 막고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치료법은 배꼽 주변 피부 속에 50원짜리 동전 크기의 항암제 주입관과 20cm 길이의 포트를 삽입한 후 항암제가 암세포로 직접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김 교수팀은 25명의 환자 혈액검사를 통해 종양표지자(CA125) 수치가 치료 받기 전 평균 980unit/ml 수준에서 치료후 18unit/ml로 떨어진 것을 확인했다.
종양표지자는 정상인의 경우 0에서 35unit/ml 미만이다. 총 25명의 환자 중 2명을 제외한 23명의 환자가 현재까지 재발되지 않았으며, 이들 중 20명은 2차 항암제 투약후인 6주만에 종양표지자 CA125 수치가 정상으로 되돌아왔다.
이 치료법은 지난 2006년 1월 미국 부인암학자 암스트롱박사가 NEJM(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중앙생존율이 16개월 향상되었음을 검증한 치료효과를 발표했으며, 이에 미 국립암연구소에서도 강력히 추천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뱃속에 주입관을 설치하는 기술상의 어려움과 환자들의 불편함, 그리고 고농도 항암제 투여로 인한 복통, 구토 등 때문에 국내에서는 시행하는 곳이 없었다.
김영태 교수는 “투여된 항암제가 고농도이고, 직접 투여하니까 몸에 작용하는 기간이 길어졌으며, 복부 전이 뿐만 아니라 전신에 퍼진 다른 암세포까지 적극적으로 치료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 치료법은 1회 치료하는데 입원후 10일 정도 소요되며, 3주 간격으로 치료효과에 따라 6~9회 정도 받으면 된다.
주입관은 치료가 종료되는 시점에 외래에서 간편하게 제거한다. 본 치료 결과는 오는 6월 대한암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