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민단체가 전국 병원들의 일반 병상 확보율을 조사한 결과 유일하게 서울대병원만이 법적 기준치인 50%에 훨씬 못 미치는 42%에 불과했다.
시민단체는 현행법상 일반병상 비율이 50%가 되지 않으면 상급병실을 운영할 수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껏 상급병실을 이용한 환자에게 차액을 전액환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대병원은 이에 조만간 상급병상 100개에 대해 일반병상 병실료를 받기로 해 일반병상 비율을 5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어찌됐든 일반병상을 확보한다는 것은 환자들에게는 좋은 일이지만, 한편으론 마음만 먹으면 쉽게 할 수 있는 일을 왜 지금껏 안했을까하는 의문이 남는다.
더 나아가 일반병상 50%만 확보하면 법적기준을 충족시켰기 때문에 끝인가 하는 점이다. 아직도 많은 환자들은 일반병상이 없어 울며 겨자먹기로 병원비가 몇 배나 비싼 상급병실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
이런 현실속에서 막대한 국민의 세금이 지원되는 국가 공공병원인 서울대병원에서 가난한 환자들은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도 더해진다.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이 별 차이가 없는 우리의료의 현실. 이는 비단 서울대병원만의 문제는 아니다. 공공병원도 수익성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고착시킨 허술한 공공보건의료정책의 문제이기도 하다.
서울대병원 제자리찾기. 우리 의료의 틀을 개편하는 거대하고도 험난한 여정이다.
시민단체는 현행법상 일반병상 비율이 50%가 되지 않으면 상급병실을 운영할 수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껏 상급병실을 이용한 환자에게 차액을 전액환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대병원은 이에 조만간 상급병상 100개에 대해 일반병상 병실료를 받기로 해 일반병상 비율을 5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어찌됐든 일반병상을 확보한다는 것은 환자들에게는 좋은 일이지만, 한편으론 마음만 먹으면 쉽게 할 수 있는 일을 왜 지금껏 안했을까하는 의문이 남는다.
더 나아가 일반병상 50%만 확보하면 법적기준을 충족시켰기 때문에 끝인가 하는 점이다. 아직도 많은 환자들은 일반병상이 없어 울며 겨자먹기로 병원비가 몇 배나 비싼 상급병실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
이런 현실속에서 막대한 국민의 세금이 지원되는 국가 공공병원인 서울대병원에서 가난한 환자들은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도 더해진다.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이 별 차이가 없는 우리의료의 현실. 이는 비단 서울대병원만의 문제는 아니다. 공공병원도 수익성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고착시킨 허술한 공공보건의료정책의 문제이기도 하다.
서울대병원 제자리찾기. 우리 의료의 틀을 개편하는 거대하고도 험난한 여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