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 강덕현·이재원 교수 연구 '서큐레이션’ 게재
4개의 심장 판막 가운데 가장 중요한 승모판막에 병이 생겨 혈액이 역류하는 승모판 폐쇄 부전증의 수술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치료 지침이 한국 심장 의학자에 의해 제시돼 전 세계 심장 의학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강덕현 교수와 흉부외과 이재원 교수는 환자 자신이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실제 검사 상에서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새로운 치료 지침을 기존의 ‘관찰과 증상 치료’에서 ‘조기 적극 수술’로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강덕현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전 세계 심장학계 최고 권위 저널인 ‘서큐레이션(Circulation)’ 최신호(2월 17일 발간, 인용지수 12.7)에 게재했다.
강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승모판막의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좌심실에서 피가 역류하는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는 환자 자신이 느끼는 증상이 없더라도 승모판막의 재건이 가능하다면 수술로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전 세계 심장학계에서는 비록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라 하더라도 증상이 없다면 수술을 하지 않고 관찰하는 것이 치료 지침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강 교수팀은 불가피하게 발생되었던 수술 사망률 때문에 수술을 기피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수술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강덕현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에서 지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 승모판 폐쇄 부전증으로 치료 받은 환자 447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기존 치료 방법과는 달리 조기에 적극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161명은 수술 후 단 한명도 사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 치료 지침대로 수술을 하지 않고 ‘관찰과 증상 치료’만 했던 286명의 환자 가운데 15%인 43명의 환자가 응급 수술이 필요하거나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기에 수술을 받은 환자 161명 중 단 1%에서 심부전증이 발생했지만 그 역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강덕현 교수는 “10년 동안 수술 결과는 물론 지금까지의 예후 추적조사에서도 환자들의 건강상태가 기존 치료 방법인 ‘관찰과 증상 치료’와 비교해 ‘조기 적극 수술’ 치료법이 훨씬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고 있기 때문에 심장 승모판막의 치료 지침을 과감하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심장학계의 최고 저널인 ‘서큐레이션(Circulation)’지의 편집자들인 세계적인 심장 석학들로 이 같은 새로운 치료 지침을 적극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매우 이례적으로 이 저널의 논평을 통해 강 교수팀의 치료 결과를 적극 수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강 교수는 “약 4시간 정도의 수술로 승모 판막의 문이 제대로 닫힐 수 있도록 성형 수술을 해주면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들은 심장마비와 같은 응급상황이 생길 평생의 공포에서 해방 될 수 있고 실제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발표된 직후 미국과 일본, 유럽지역의 심장 석학들이 강 교수에게 승모판 수술 시기에 대한 심도 깊은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교수는 “승모판이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폐쇄 부전증 환자들은 가슴의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특징적인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까운 동네병원에서도 청진기로 쉽게 진단을 받을 수 있고 심장초음파를 통해 정확한 병의 진행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강덕현 교수와 흉부외과 이재원 교수는 환자 자신이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실제 검사 상에서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새로운 치료 지침을 기존의 ‘관찰과 증상 치료’에서 ‘조기 적극 수술’로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강덕현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전 세계 심장학계 최고 권위 저널인 ‘서큐레이션(Circulation)’ 최신호(2월 17일 발간, 인용지수 12.7)에 게재했다.
강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승모판막의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좌심실에서 피가 역류하는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는 환자 자신이 느끼는 증상이 없더라도 승모판막의 재건이 가능하다면 수술로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전 세계 심장학계에서는 비록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라 하더라도 증상이 없다면 수술을 하지 않고 관찰하는 것이 치료 지침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강 교수팀은 불가피하게 발생되었던 수술 사망률 때문에 수술을 기피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수술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강덕현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에서 지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 승모판 폐쇄 부전증으로 치료 받은 환자 447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기존 치료 방법과는 달리 조기에 적극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161명은 수술 후 단 한명도 사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 치료 지침대로 수술을 하지 않고 ‘관찰과 증상 치료’만 했던 286명의 환자 가운데 15%인 43명의 환자가 응급 수술이 필요하거나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기에 수술을 받은 환자 161명 중 단 1%에서 심부전증이 발생했지만 그 역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강덕현 교수는 “10년 동안 수술 결과는 물론 지금까지의 예후 추적조사에서도 환자들의 건강상태가 기존 치료 방법인 ‘관찰과 증상 치료’와 비교해 ‘조기 적극 수술’ 치료법이 훨씬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고 있기 때문에 심장 승모판막의 치료 지침을 과감하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심장학계의 최고 저널인 ‘서큐레이션(Circulation)’지의 편집자들인 세계적인 심장 석학들로 이 같은 새로운 치료 지침을 적극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매우 이례적으로 이 저널의 논평을 통해 강 교수팀의 치료 결과를 적극 수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강 교수는 “약 4시간 정도의 수술로 승모 판막의 문이 제대로 닫힐 수 있도록 성형 수술을 해주면 심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들은 심장마비와 같은 응급상황이 생길 평생의 공포에서 해방 될 수 있고 실제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발표된 직후 미국과 일본, 유럽지역의 심장 석학들이 강 교수에게 승모판 수술 시기에 대한 심도 깊은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교수는 “승모판이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폐쇄 부전증 환자들은 가슴의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특징적인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까운 동네병원에서도 청진기로 쉽게 진단을 받을 수 있고 심장초음파를 통해 정확한 병의 진행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