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로부터 5년간 25억 지원 받아 새로운 백신 개발

교육과학기술부는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김양수 교수가 제출한 연구과제 ‘예방백신, 진단법, 치료법, 예후 판정법 개발을 위한 MRSA와 수퍼박테리아의 타겟’에 매년 5억원씩 5년 동안 총 25억원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김양수 교수는 지금까지의 항생제 개발 방법과 다른 개념으로 이번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즉 세균이나 곰팡이균과 같은 천연물에서 발견한 균을 배양해 개발한 지금까지의 항생제와는 달리 유전체학과 면역체학에 면역단백체학을 추가해 모든 타겟을 분석해 나갈 계획이다.
메타실린 황색포도상알(MRSA, 황색의 포도 모양)을 잡을 수 있는 반코마이신이라는 최후의 보루 항생제와 그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된 수퍼박테리아의 등장으로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골몰하고 있는 가운데 김양수 교수가 MRSA와 수퍼박테리아를 목표로 하는 연구에 나서게 된 것이다.
즉, 수퍼박테리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 개발과 진단, 치료, 예후 판정 등을 전제로 새롭게 디자인 된 연구를 본격화함으로써 박테리아와의 새로운 전쟁을 승리로 이끌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양수 교수가 교육과학기술부의 이번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의 연구과제로 선정된 것도 새롭게 디자인 된 연구 개념 접근과 지금까지 MRSA, 수퍼박테리아의 임상정보와 균주 및 감염환자의 인체자원을 모두 모아 연구기반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