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용선 의원협회 준비위원장, 공론화 작업 우선돼야
최근 (가칭)의원협회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병원협회가 병원급 의료기관의 이익을 대변하듯이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표하는 단체가 있어야 한다는 개원의들의 지적에서 시작됐다.

윤용선 준비위원장
지난 21일 윤용선 의원협회 준비위원장(지인내과)을 만나 설립 취지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그는 먼저 “개원의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정부 정책에 문제가 있다면 이의 제기할 수 있는 법정 단체가 필요하다”며 “의원협회를 임의단체로 만들 생각은 없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즉, 개원의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필요할 땐 정부 정책에 제동을 걸 수 있는 힘 있는 단체를 만들겠다는 얘기다.
그는 “과거에 대한의사협회에서 병원협회가 독자적으로 나와 병원 경영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성장했듯이 의원협회는 개원의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윤 준비위원장은 의사협회에 대항하는 단체를 만드는 게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서는 극구 부정했다.
그는 “의사협회가 개원의들의 입장만 대변하는 것은 의사협회의 위상을 격하시키는 일”이라며 “의사협회는 의원협회는 물론 병의원, 전공의, 공보의 등 전 직역을 아우르는 단체가 돼야 한다”고 전했다.
전체 의료계 단체를 대표하는 의사협회가 있고 그 산하에 의원협회, 병원협회, 전공의협의회, 공보의협의회 등 단체를 두는 식이 돼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가까운 예로 수가협상에서 의료계를 대표하는 의사협회가 나서기 보다는 의원협회가 나서야 철저히 개원의들의 이익을 내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한 윤 준비위원장은 일각에선 정치적인 욕심이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경계했다.
그는 “임의단체라면 준비위원장이 회장을 맡기도 하지만 의원협회는 법정단체로 회장 선출 등 협회를 설립하는 모든 과정이 민주적으로 진행돼야한다”며 거듭 정치적인 욕심이 없음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개인적으로 앞에 나서는 것을 좋아하지도 않고 이일 이외에도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욕심내고 싶지 않다”며 “철저히 의원협회를 세우는 데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전의총(전국의사총연합)과 의원협회를 연관하는 것에 대해서도 부담스러워 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개원내과의사회 정책이사로 활동하고 있고 의사협회에서도 이슈에 따라 TF팀에서 활동하는 등 제도권에서 활동하고 있다”면서 “다만 제도권에서 지적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지적하는 단체가 있어야 하고 이 역할을 전의총에서 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윤 준비위원장은 의원협회 설립 일정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그는 “법정단체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의료법을 수정하는 등 법적인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회원들 사이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충분히 공론화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단 당분간은 의원협회의 필요성에 대한 여론화 작업이 필요하다”며 "이미 개원의협의회나 회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호응을 보이고 있어 조만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먼저 “개원의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정부 정책에 문제가 있다면 이의 제기할 수 있는 법정 단체가 필요하다”며 “의원협회를 임의단체로 만들 생각은 없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즉, 개원의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필요할 땐 정부 정책에 제동을 걸 수 있는 힘 있는 단체를 만들겠다는 얘기다.
그는 “과거에 대한의사협회에서 병원협회가 독자적으로 나와 병원 경영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성장했듯이 의원협회는 개원의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윤 준비위원장은 의사협회에 대항하는 단체를 만드는 게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서는 극구 부정했다.
그는 “의사협회가 개원의들의 입장만 대변하는 것은 의사협회의 위상을 격하시키는 일”이라며 “의사협회는 의원협회는 물론 병의원, 전공의, 공보의 등 전 직역을 아우르는 단체가 돼야 한다”고 전했다.
전체 의료계 단체를 대표하는 의사협회가 있고 그 산하에 의원협회, 병원협회, 전공의협의회, 공보의협의회 등 단체를 두는 식이 돼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가까운 예로 수가협상에서 의료계를 대표하는 의사협회가 나서기 보다는 의원협회가 나서야 철저히 개원의들의 이익을 내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한 윤 준비위원장은 일각에선 정치적인 욕심이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경계했다.
그는 “임의단체라면 준비위원장이 회장을 맡기도 하지만 의원협회는 법정단체로 회장 선출 등 협회를 설립하는 모든 과정이 민주적으로 진행돼야한다”며 거듭 정치적인 욕심이 없음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개인적으로 앞에 나서는 것을 좋아하지도 않고 이일 이외에도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욕심내고 싶지 않다”며 “철저히 의원협회를 세우는 데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전의총(전국의사총연합)과 의원협회를 연관하는 것에 대해서도 부담스러워 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개원내과의사회 정책이사로 활동하고 있고 의사협회에서도 이슈에 따라 TF팀에서 활동하는 등 제도권에서 활동하고 있다”면서 “다만 제도권에서 지적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지적하는 단체가 있어야 하고 이 역할을 전의총에서 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윤 준비위원장은 의원협회 설립 일정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그는 “법정단체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의료법을 수정하는 등 법적인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회원들 사이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충분히 공론화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단 당분간은 의원협회의 필요성에 대한 여론화 작업이 필요하다”며 "이미 개원의협의회나 회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호응을 보이고 있어 조만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자신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