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식약청 대외비 용역 보고서 입수
PPA 감기약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PPA 성분과 뇌졸중 위험성 증가에 대한 연관성이 보고됐으며 특히 30세 이상 여성이 가장 위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5일 메디칼타임즈가 입수한 윤병우 교수(서울의대 신경과)의 ‘페닐프로판올아민 복합제 사용과 출혈성 뇌졸중 발생간 관련성 규명을 위한 환자-대조군 연구’에 따르면 감기약에 함유된 PPA 복용이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30세 이상의 모든 연령에서 공통된 현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윤 교수는 밝혔다.
윤 교수의 이번 모니터링 연구는 지난 2002년부터 약 2년3개월 동안 전국 10개 센터, 32개 병원에서 940명의 출혈성 뇌졸중 환자와 188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윤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4일 이내 PPA 복용시 보정한 대응위험도가 전체 대상자 2.14(95% 신뢰구간 0.94-4.84)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1.36(95% 신뢰구간 0.45-4.15), 여성의 경우는 이보다 높은 3.86(95% 신뢰구간 1.08-13.80)으로 나타났다.
또한 3일 이내 PPA 복용시 보정한 대응위험도는 전체 5.36(95% 신뢰구간 1.40-20.46), 남성 4.21(95% 신뢰구간 0.78-22.77), 여성 9.15(95% 신뢰구간 0.95-87.89)로 조사됐다.
출혈성 뇌졸중 종류별 위험도를 살펴봤을 때 지주막하출혈 위험도는 3.96(95% 신뢰구간 0.97), 뇌실질내출혈 위험도는 1.68(95% 신뢰구간 0.58-4.89)로 드러났다.
윤 교수는 위와 같이 도출된 위험도와 관련해 95% 신뢰구간이 1을 포함하는 경우 통계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지만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팀은 이같은 결과와 관련해 미 예일대학팀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여성에서 PPA와 출혈성 뇌졸중의 관련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남성에게서 PPA와 출혈성 뇌졸중의 관련성이 없다는 식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PPA 함유 감기약 파동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 이 보고서는 서울대 의대 윤병우 교수가 책임연구자를 맡고 전남대 신경과 조기현 교수 등 12명의 교수들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했다.
5일 메디칼타임즈가 입수한 윤병우 교수(서울의대 신경과)의 ‘페닐프로판올아민 복합제 사용과 출혈성 뇌졸중 발생간 관련성 규명을 위한 환자-대조군 연구’에 따르면 감기약에 함유된 PPA 복용이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30세 이상의 모든 연령에서 공통된 현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윤 교수는 밝혔다.
윤 교수의 이번 모니터링 연구는 지난 2002년부터 약 2년3개월 동안 전국 10개 센터, 32개 병원에서 940명의 출혈성 뇌졸중 환자와 188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윤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4일 이내 PPA 복용시 보정한 대응위험도가 전체 대상자 2.14(95% 신뢰구간 0.94-4.84)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1.36(95% 신뢰구간 0.45-4.15), 여성의 경우는 이보다 높은 3.86(95% 신뢰구간 1.08-13.80)으로 나타났다.
또한 3일 이내 PPA 복용시 보정한 대응위험도는 전체 5.36(95% 신뢰구간 1.40-20.46), 남성 4.21(95% 신뢰구간 0.78-22.77), 여성 9.15(95% 신뢰구간 0.95-87.89)로 조사됐다.
출혈성 뇌졸중 종류별 위험도를 살펴봤을 때 지주막하출혈 위험도는 3.96(95% 신뢰구간 0.97), 뇌실질내출혈 위험도는 1.68(95% 신뢰구간 0.58-4.89)로 드러났다.
윤 교수는 위와 같이 도출된 위험도와 관련해 95% 신뢰구간이 1을 포함하는 경우 통계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지만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팀은 이같은 결과와 관련해 미 예일대학팀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여성에서 PPA와 출혈성 뇌졸중의 관련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남성에게서 PPA와 출혈성 뇌졸중의 관련성이 없다는 식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PPA 함유 감기약 파동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 이 보고서는 서울대 의대 윤병우 교수가 책임연구자를 맡고 전남대 신경과 조기현 교수 등 12명의 교수들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