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당뇨 유전자 치료 새 지평 열렸다"

발행날짜: 2012-02-14 11:59:00
  • 지성욱 교수, 마이크로 RNA 새 유전자 결합법 규명

국내 연구진이 암이나 당뇨병 발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 RNA의 새로운 결합 방법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융합의과학원 지성욱 교수팀은 최근 마이크로 RNA가 지금까지 알려진 것 보다 훨씬 다양한 형태로 유전자에 결합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지 교수팀은 마이크로RNA가 단백질 합성 명령을 전달하는 mRNA와 결합할 때 상보관계가 아니더라도 스스로 그 부분을 찾아 결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마이크로RNA와 mRNA는 말단 6개의 염기 서열이 정확히 맞아야만 결합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즉, 마이크로RNA가 상보적 염기서열을 가진 mRNA외에도 더 많은 mRNA를 조절하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다.

실제로 지 교수팀이 쥐의 대뇌피질과 자궁경부암 세포를 통해 이를 실험한 결과 이 같은 mRNA는 마이크로 RNA에 조절되는 mRNA의 약 20%에 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이크로RNA는 지난 1993년 Victor Ambros 연구실에서 최초로 발견한 생체 물질로 아고너트(Argonaute)라는 단백질과 결합해 여러 유전자의 mRNA를 인식, mRNA의 단백질 생성 기능을 억제한다.

마이크로RNA의 이 같은 작용은 유전자 발현의 중요한 기전 중 하나로서 정상상황에서는 세포의 분화와 성장에 관여하나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는 암 및 퇴행성 질환, 당뇨병 등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이러한 가운데 지 교수팀이 마이크로 RNA의 활용범위를 극대화하면서 암, 당뇨병 등 유전자 이상 질병의 근원 유전자만 억제하는 마이크로 RNA 기반치료제 개발에 단초를 제공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삼성융합의과학원은 이번 지성욱 교수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마이크로 RNA의 특성을 이용한 RNA 기반 치료제 및 치료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정명희 삼성융합의과학원 원장은 "이번 연구로 질병 발생 기전이 더욱 명확해지면서 더 많은 유전자를 타겟으로 맞춤 치료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Nature의 자매지인 'Nature Structural and Molecular Biology'(IF:12.273)에 속보로 게재됐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