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군 20% 'AXL' 수치 증가…네이처 제네틱스에 게재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원인이 확인돼 한 차원 높은 항암제 개발이 예상된다.
서울아산병원 폐암센터(이재철, 김상위 교수)는 16일 "콜롬비아대학, UC 샌프란시스코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AXL'이라는 인산화효소수용체가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AXL'은 인산화효소 수용체의 한 종류로, 세포의 외벽에서 외부 신호를 받아 세포의 증식과 분화, 소멸 그리고 암 생성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 군이다.
연구진은 비소세포성폐암 성인 환자 35명(43~80세)을 대상으로 폐암 표적치료제인 '이레사'와 '타세바'를 투여한 후 내성이 생긴 환자 조직에서 'AXL' 활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내성 전후 비교결과, 총 35명의 내성 보유 환자 중 7명(20%)에서 'AXL'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 중 2명에서 기존 내성기전으로 밝혀진 '1790M'까지 함께 반응을 보였다.
이는 'AXL'이 내성의 또 다른 원인이라는 사실을 반증한 결과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현 폐암 표적치료제는 상피성장인자수용체(EGFR)의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높은 치료반응을 보여주고 있으나, 평균 1년 후 내성이 발생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암센터 김상위 교수는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성기전인 AXL과 기존 EGFR 신호를 동시에 차단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면 암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아산병원에서 AXL과 관련된 표적치료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향후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한계를 극복해 나가는데 앞장 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저널인 네이처 제네틱스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아산병원 폐암센터(이재철, 김상위 교수)는 16일 "콜롬비아대학, UC 샌프란시스코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AXL'이라는 인산화효소수용체가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AXL'은 인산화효소 수용체의 한 종류로, 세포의 외벽에서 외부 신호를 받아 세포의 증식과 분화, 소멸 그리고 암 생성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 군이다.
연구진은 비소세포성폐암 성인 환자 35명(43~80세)을 대상으로 폐암 표적치료제인 '이레사'와 '타세바'를 투여한 후 내성이 생긴 환자 조직에서 'AXL' 활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내성 전후 비교결과, 총 35명의 내성 보유 환자 중 7명(20%)에서 'AXL'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 중 2명에서 기존 내성기전으로 밝혀진 '1790M'까지 함께 반응을 보였다.
이는 'AXL'이 내성의 또 다른 원인이라는 사실을 반증한 결과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현 폐암 표적치료제는 상피성장인자수용체(EGFR)의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높은 치료반응을 보여주고 있으나, 평균 1년 후 내성이 발생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암센터 김상위 교수는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성기전인 AXL과 기존 EGFR 신호를 동시에 차단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면 암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아산병원에서 AXL과 관련된 표적치료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향후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 한계를 극복해 나가는데 앞장 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저널인 네이처 제네틱스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