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건정심 공익위원 중립적…구조적 문제 없다"

이창진
발행날짜: 2012-11-03 07:20:57
  • 정몽준 의원 질의에 서면답변 논란 "가입자 참여 합리적"

[메디칼타임즈=] 정부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 구조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해 논란이 예상된다.

보건복지부는 2일 국정감사 서면답변을 통해 "정부를 포함한 공익위원은 중립적인 입장에서 건정심 심의, 의결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은 "복지부가 현행 건정심 구조가 합리적이라고 하는 것은 2004년 감사원 권고에 대한 입장과 상반된다"며 복지부장관의 견해를 서면 질의했다.

복지부는 국회 서면답변을 통해 건정심 구조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손건익 차관 주재로 열린 건정심 회의 모습.
감사원은 2004년 공단과 심평원, 보건사회연구원, 보건산업진흥원 등 정부에 영향을 받은 기관 직원의 건정심 위원 위촉에 불합리성을 지적한 바 있다.

복지부는 당시 감사원의 지적에 대해 공익위원을 중립적인 인사가 선정, 위촉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회신했으나, 산하 기관 직원들의 건정심 위원 위촉은 지속되고 있는 상태이다.

복지부는 국감 답변서에서 "그동안 전문성과 중립성 등을 고려해 보건사회연구원과 보건산업진흥원 소속 전문가를 위촉했다"면서 "정부를 포함한 공익위원은 장기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건정심 심의, 의결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어 "보건사회연구원이나 보건산업진흥원의 공익위원들도 정부의 의견과는 독립적으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나섰다.

복지부는 "건정심은 건강보험의 주요정책 결정을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기구"라면서 "건정심 구조 변경은 매우 중요하고 민감한 문제이며 건보법 개정은 국회에서 논의해야 한다"며 국회로 책임을 전가했다.

KDI가 독일 예(보험자와 공급자의 1대 1 협상)를 들며 지적한 건정심 기능과 역할 구분에 대해서도 사실상 수용불가 입장을 피력했다.

복지부는 "한국의 보장수준 및 보험료율 등은 독일과 다르며, 오히려 수입(보험료)과 지출(보장성, 수가, 급여)을 건정심에서 결정하고 있다"며 "공급자와 함께 가입자가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민주성 원칙에 부합하며 합리적 의사결정 구조"라고 못 박았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ㅋㅋㅋㅋ 2012.11.05 01:42:35

    코메디가 따로없네
    거짓말 전문가 면허증이라도 줘야할듯... 저정도로 뻔뻔하게 거짓말 하려면 그정도의 댓가는 어디선가 받고 있는거겠죠? 사람으로서 양심이 있다면 아니 그런게 없다고 해도 부끄러움을 안다면 어떻게 저렇게 뻔히 보이는 거짓말을 할 수 있을까요?

  • 어이없네 2012.11.03 13:55:15

    미친...
    의사수는 OECD 기준이고 건정심 구조는 독일과 다르니까
    할수 없다?
    이런 개논리가 어딨니? 아이큐가 두자리도 안되는 놈들

  • 그래서 2012.11.03 13:36:31

    구조에 문제가 없는데
    약사회 편들고, 한약 첩약에 건보료 2000억 통과시키냐?
    의협은 왕따시키고? 이런 건정심 복지부는 거수기 노릇하니 원할지 몰라도 국민은 내막알면 원하지 않는다.

  • 초딩 2012.11.03 08:44:56

    초딩도 알만한 이야기, 개그하냐?
    공단은 보험자다!
    보험자 대표 8명에는 공단이 없다.
    그런데 공단은 중재자 역할인 공익대표에 속해있다.
    이것이 합리적인 구조인가요?

    초딩: 아니요! ㅎㅎㅎㅎㅎ...ㅋㅋㅋㅋㅋ

  • ㅎㅎㅎㅎ 2012.11.03 08:28:56

    뭘 수용할수 없고 자시고 해
    공급자가 안하면 그만 인것을 .. 지금이 민주적이다? 참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자 가 있구만..

    아침부터 어이가 없어도 너무 어이가 없어서 저런 사람이 있는데, 무슨 대화가 가능하겟나?

    저사람은 공직에서 물러나는게 좋을 것 같은 생각이 많이 든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