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정총서 취임 "의약품은 공공재…제네릭 난립 정리해야"
대한약사회 김대업 회장 집행부가 공식 출범했다. 그는 취임사를 통해 성분명처방 도입과 커뮤니티케어 참여를 내세웠다.
대한약사회는 12일 약사회관에서 제65회 정기대의원총회 및 회장 이·취임식을 열었다.
지난해 12월 당선 후 공식 취임하게 된 김대업 회장은 취임사에서 성분명처방을 내포하고 있는 국제일반명제도(INN, International Non-proprietary Name) 도입을 주장했다. 이는 회장선거 운동 당시 주요 공약이기도 하다.
김 회장은 "수만개의 제네릭 의약품이 각자의 브랜드를 갖고 있는 현실을 정상적이지 않다"며 "제네릭의 인허가에서 '언브랜디드 제네릭'이라는 원칙하에 국제일반명제도는 하루 빨리 도입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의사 처방으로 의약품 구매 품목과 양이 결정되고 약사가 약 구매 품목을 정할 수도 없고 구매량을 결정할 수도 없다"며 "처방이 중단돼 재고가 남아도 약사 스스로 소진할 방법이 없다"고 현실을 지적했다.
재고가 남을 때 가격인하 같은 마케팅 방법으로 소진할 수도 없고 약사 본인이 먹어도 불법이라는 것.
김 회장은 "의약분업 하에서 국가가 약사에게 위임해 최소한의 의약품을 환자에게 적절히 투약하도록 하고 있다"며 "약국에 어떤 마진도 없는 공공재 성격의 전문약이 약국 과세의 대상이 되고, 카드수수료가 부과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가 같이 분담해야 할 책임이 너무 과도하게 약사에게 지워지고 있다"며 "이런 잘못된 정책은 하나하나 수정되고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전문의약품은 공공재'라는 말을 앞세우며 난립하는 제네릭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김 회장은 "공동생동이라는 잘못된 제도로 제네릭 의약품이 난립해 빚어지고 있는 여러 문제도 시급히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커뮤니티 케어아 첩약 급여화 과정에서 약사 직역의 참여도 주요 화두다.
김대업 회장은 "지역약사회와 약국들이 건강관리자로서 커뮤니티케어의 중심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어야 한다"며 "약사가 환자 안전을 위해 최선의 역할을 다하고 의약품 부작용 예방과 관리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약사회 집행부 교체기에 정부는 약사회를 패싱하고 최소한의 절차적 정당성도 없이 약사 정원을 늘려 소규모 약대 신설을 추진하고, 약사를 제외한 첩약 건강보험을 추진하는 행태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대한약사회는 12일 약사회관에서 제65회 정기대의원총회 및 회장 이·취임식을 열었다.
지난해 12월 당선 후 공식 취임하게 된 김대업 회장은 취임사에서 성분명처방을 내포하고 있는 국제일반명제도(INN, International Non-proprietary Name) 도입을 주장했다. 이는 회장선거 운동 당시 주요 공약이기도 하다.
김 회장은 "수만개의 제네릭 의약품이 각자의 브랜드를 갖고 있는 현실을 정상적이지 않다"며 "제네릭의 인허가에서 '언브랜디드 제네릭'이라는 원칙하에 국제일반명제도는 하루 빨리 도입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의사 처방으로 의약품 구매 품목과 양이 결정되고 약사가 약 구매 품목을 정할 수도 없고 구매량을 결정할 수도 없다"며 "처방이 중단돼 재고가 남아도 약사 스스로 소진할 방법이 없다"고 현실을 지적했다.
재고가 남을 때 가격인하 같은 마케팅 방법으로 소진할 수도 없고 약사 본인이 먹어도 불법이라는 것.
김 회장은 "의약분업 하에서 국가가 약사에게 위임해 최소한의 의약품을 환자에게 적절히 투약하도록 하고 있다"며 "약국에 어떤 마진도 없는 공공재 성격의 전문약이 약국 과세의 대상이 되고, 카드수수료가 부과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가 같이 분담해야 할 책임이 너무 과도하게 약사에게 지워지고 있다"며 "이런 잘못된 정책은 하나하나 수정되고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전문의약품은 공공재'라는 말을 앞세우며 난립하는 제네릭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김 회장은 "공동생동이라는 잘못된 제도로 제네릭 의약품이 난립해 빚어지고 있는 여러 문제도 시급히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커뮤니티 케어아 첩약 급여화 과정에서 약사 직역의 참여도 주요 화두다.
김대업 회장은 "지역약사회와 약국들이 건강관리자로서 커뮤니티케어의 중심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어야 한다"며 "약사가 환자 안전을 위해 최선의 역할을 다하고 의약품 부작용 예방과 관리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약사회 집행부 교체기에 정부는 약사회를 패싱하고 최소한의 절차적 정당성도 없이 약사 정원을 늘려 소규모 약대 신설을 추진하고, 약사를 제외한 첩약 건강보험을 추진하는 행태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