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SCI급 논문 분석해보니...'임상의학' 분야 가장 많아

발행날짜: 2021-04-13 11:55:50
  • 2019년 국내 현황 분석 결과 공개…발표기관은 서울대가 1위
    임상의학 세계 10위권 성적, 전 세계 점유율 약 4% 차지

한국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급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분야는 의과대학 교수진을 중심으로 한 임상의학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주저자, 공저자 기준으로 서울대가 논문 발표가 국내에선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사진. 본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입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지난 2019년 SCI 논문 현황을 분석한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인용 현황' 보고서에 발표했다.

우선 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은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논문 발표 개수 순위에서 세계 12위를 차지했다. 발표 논문 수는 전년(6만 4179편)보다 8.47% 증가한 6만 9618편으로 조사됐다.

2019년 한국 논문 발표 기관은 3437개로 2005년(1807개)보다 약 2.6배 늘었다. 논문 발표 학술지 종류는 6774개로 2005년(3437개)보다 약 1.97배 증가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9년 국내에서 주저자, 공저자 기준으로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기관은 서울대였다. 총 4372편을 발표해 국내에서 가장 많은 SCI급 논문을 발표했다.

뒤 이어 연세대(3038편), 성균관대(2429편), 고려대(2279편) 등으로 SCI 논문을 발표한 상위 20개 기관 중 18개 기관이 대학으로 분류됐다.

주목할 점은 이 중에서도 서울대병원이 최근 5년 간 논문 수 증가율이 200% 이상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2005년과 2009년 사이 1731편의 논문의 발표됐지만, 10년 후인 2015년과 2019년에는 5920편이 발표돼 10년 사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한국의 SCI 논문의 발표 및 인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22개 분야 중 9개 분야에서 세계 상위 10권으로 분류됐다. 이와 관련해 2019년 한국의 SCI급 논문 피인용 횟수는 13만 2411회로 전 세계 13위.

2019년 국내 SCI 분야별 논문 수가 가장 많은 분야는 의학인 것으로 조사됐다.
상위 10권의 분류된 분야는 재료과학(4위), 공학(5위), 화학(8위), 컴퓨터과학(8위), 약리학/독성학(8위), 농학(9위), 생물학.생화학(10위), 임상의학(10위), 물리학(10위) 등이 상위 10위권에 포함됐다.

특히 이 중에서 의과대학 교수 중심으로 이뤄지는 임상의학 분야의 논문 발표가 가장 많았다. 임상의학 분야만 총 1만 2954편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관련된 전 세계 임상의학 총 논문 수는 33만 4333편으로 이중 한국의 점유율은 3.87%인 것으로 조사됐다.

KISTEP 측은 "논문 수 및 점유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22개 표준분야 중 9개 분야에서 10위권, 22개 분야 모두 20위권의 연구수준을 보유하고 있다"며 "한국의 2019년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분야는 임상의학이고, 각 분야별 논문 수 대비 점유율이 가장 높은 분야는 재료과학 분야"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절대적인 피인용 수는 증가했지만 양적 성과(논문 수, 12위)와 비교할 때 질적 성과(피 인용 수, 32위)의 수준은 추가적인 개선 여지가 있다"며 "연구역량(논문 수, 혁신역량, 20위권)에 비해 기업이 체감하는 국가역량(경쟁력, 30위권) 수준이 낮아 과학기술성과의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로 연계와 환경 조성에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