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사진작가 김영춘 원장
“개인 병원의 진료실 안은 감옥이었습니다. 이 감옥을 벗어나야겠다고 생각하니 사진이 떠올랐습니다.”
수원에서 외과를 운영하는 김영춘 원장(60)은 아마추어 사진작가이다. 늘 환자 속에 파묻힌 평일이 지나 주말에 이르면 김 원장은 자연의 순수함을 찾아 전국 방방곳곳을 헤매고 다닌다.
이 생활도 이미 15년째에 달한다. 그가 카메라를 잡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가톨릭의대 학보사 사진기자를 맡으면서다. 그러나 바쁜 의대 생활부터 외과 교수 생활까지 삶이 이어지면서 사진을 잊고 살았다.
다시 사진을 찾은 건 개인병원을 개원한 이후. 진료실에만 갇혀 있는 답답함을 떨치기 위해 카메라를 다시 손에 쥐었다.
이 때부터 김 원장은 사진에 본격적으로 몰입했다. 금요일 저녁쯤 동호회나 가족들과 출발해 새벽 사진, 일몰 사진을 찍고 다음날 오후에 돌아오는 15년의 역사기 시작된 것.
국내는 안 다녀본 곳이 없고 중국과 일본 북해도 등지에도 사진을 찍기 위해 다녔다. 올해 도 신남이라는 곳에서 새해 첫 일출을 찍었다.
그러다보니 위급한 상황도 많이 만났다. 갯바위, 비탈길 등 이끼가 많은 곳은 특히 위험한데 넘어져 카메라가 고장 난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니다.
물론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많았다. 한번은 중요한 촬영에서 열심히 사진을 찍었는데, 열어보니 필름을 넣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김 원장은 “자꾸 생각이 나서 며칠 잠을 못 잘 정도였다”고 회상했다.
김 원장은 사진을 찍으면서 노동자도 만나고 약사도 만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 같이 나누는 것이 큰 즐거움이라고 말했다.
"인간에 의한 자연의 변화가 안타까워"
김 원장은 사진과 함께 하는 장점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첫째로 감옥의 메마른 생활을 벗어날 수 있고, 풍경과 아름다룬 자연을 접함으로서 정서적으로 도움도 되며 다른 사람들을 만나 교분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특히 김 원장은 자연의 경애심을 많이 느낀다. 자연과 대화를 하기도 한다. 같은 곳을 가더라도 매번 느낌이 다르다. 예전의 상황이 다시 재현이 안 된다. 김 원장은 “파인더를 들여다보면 자연은 여러 교훈을 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타까운 건 인간에 의한 변화다. 아무 것도 없던 조용한 마을이 모텔로 가득 찬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 한 적도 많다.
이 때문에 김 원장이 사진은 저절로 풍경으로 향한다. 초창기에는 다큐멘터리, 야생화, 새 등 다양한 사진을 찍었으나 이제는 풍경을 주로 찍는다. 그는 “풍경은 찍든 말든 시비 걸지 말고 가만히 있는다”면서 풍경 애찬론을 펼친다.
김 원장은 최근 이러한 15년간의 기억을 모아 ‘풍경사계’란 사진집을 발간했다. 또 서울에서 첫 개인 사진전도 열었다. 책을 하나 내려던 것이 커져서 전시회까지 이어졌다.
출품된 사진에 대해 사진평론가 김승곤 씨는 “자연의 질서에 의한 조화와 균형을 담아내며 단정한 동시에 마음을 포근하게 만든다”고 평했다.
수원에서 외과를 운영하는 김영춘 원장(60)은 아마추어 사진작가이다. 늘 환자 속에 파묻힌 평일이 지나 주말에 이르면 김 원장은 자연의 순수함을 찾아 전국 방방곳곳을 헤매고 다닌다.
이 생활도 이미 15년째에 달한다. 그가 카메라를 잡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가톨릭의대 학보사 사진기자를 맡으면서다. 그러나 바쁜 의대 생활부터 외과 교수 생활까지 삶이 이어지면서 사진을 잊고 살았다.
다시 사진을 찾은 건 개인병원을 개원한 이후. 진료실에만 갇혀 있는 답답함을 떨치기 위해 카메라를 다시 손에 쥐었다.
이 때부터 김 원장은 사진에 본격적으로 몰입했다. 금요일 저녁쯤 동호회나 가족들과 출발해 새벽 사진, 일몰 사진을 찍고 다음날 오후에 돌아오는 15년의 역사기 시작된 것.
국내는 안 다녀본 곳이 없고 중국과 일본 북해도 등지에도 사진을 찍기 위해 다녔다. 올해 도 신남이라는 곳에서 새해 첫 일출을 찍었다.
그러다보니 위급한 상황도 많이 만났다. 갯바위, 비탈길 등 이끼가 많은 곳은 특히 위험한데 넘어져 카메라가 고장 난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니다.
물론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많았다. 한번은 중요한 촬영에서 열심히 사진을 찍었는데, 열어보니 필름을 넣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김 원장은 “자꾸 생각이 나서 며칠 잠을 못 잘 정도였다”고 회상했다.
김 원장은 사진을 찍으면서 노동자도 만나고 약사도 만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 같이 나누는 것이 큰 즐거움이라고 말했다.
"인간에 의한 자연의 변화가 안타까워"
김 원장은 사진과 함께 하는 장점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첫째로 감옥의 메마른 생활을 벗어날 수 있고, 풍경과 아름다룬 자연을 접함으로서 정서적으로 도움도 되며 다른 사람들을 만나 교분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특히 김 원장은 자연의 경애심을 많이 느낀다. 자연과 대화를 하기도 한다. 같은 곳을 가더라도 매번 느낌이 다르다. 예전의 상황이 다시 재현이 안 된다. 김 원장은 “파인더를 들여다보면 자연은 여러 교훈을 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타까운 건 인간에 의한 변화다. 아무 것도 없던 조용한 마을이 모텔로 가득 찬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 한 적도 많다.
이 때문에 김 원장이 사진은 저절로 풍경으로 향한다. 초창기에는 다큐멘터리, 야생화, 새 등 다양한 사진을 찍었으나 이제는 풍경을 주로 찍는다. 그는 “풍경은 찍든 말든 시비 걸지 말고 가만히 있는다”면서 풍경 애찬론을 펼친다.
김 원장은 최근 이러한 15년간의 기억을 모아 ‘풍경사계’란 사진집을 발간했다. 또 서울에서 첫 개인 사진전도 열었다. 책을 하나 내려던 것이 커져서 전시회까지 이어졌다.
출품된 사진에 대해 사진평론가 김승곤 씨는 “자연의 질서에 의한 조화와 균형을 담아내며 단정한 동시에 마음을 포근하게 만든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