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제1.5형 당뇨병 12.8% 차지"

안창욱
발행날짜: 2006-10-31 21:01:07
  • 연세대 허갑범 명예교수ㆍ최영주 전문의 조사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들은 제1형 당뇨병의 경우 전체 환자의 2.3%로 서구인에 비해 비교적 적은 반면 제2형 당뇨병이 전체 환자의 84.9%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에는 제1, 제2형에 속하지 않는 1.5형 당뇨병이 12.8%나 분포하고 있었다.

이 조사연구는 서울 마포에서 허내과를 개원하고 있는 허갑범 연세대 명예교수와 최영주 내과전문의가 2003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허내과를 찾은 당뇨병환자 335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허 명예교수는 이 연구결과를 최근 대한내과학회 학술대회에서 보고했다.

당뇨병은 췌장 인슐린분비세포의 파괴로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는 경우를 제1형 당뇨병이라고 하고, 인슐린분비능력은 어느 정도 남아있으나 인슐린기능이 감소(인슐린 저항성)되어 혈당이 높아지는 경우를 제2형 당뇨병이라고 분류한다.

서구인의 경우 제1형 당뇨병이 5~10%, 나머지는 제2형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번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제1형이 2.3%(77명), 제2형이 84.9%(2849명), 1.5형이 12.8%(431명)로 집계됐다.

제1형 당뇨병은 대개 소아기에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이라고 하는데, 체중이 낮고 인슐린공급이 없이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라고 부른다.

반면 제2형 당뇨병은 주로 40세 이후에 나타나고 비만한 사람이 많으며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고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및 적절한 처방약으로 적정한 혈당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제2형 당뇨병에 비해 발병연령이 낮고 비만하지도 않으면서 인슐린저항성도 심하지 않은 특성을 가진 환자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당뇨병학자들은 이를 1.5형 당뇨병이라고 부른다.

1.5형 당뇨병은 제 2형 당뇨병보다 인슐린저항성이 심하지 않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중풍이나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질환의 발생률이 적은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인슐린이나 인슐린 분비촉진제를 함부로 사용하면 심혈관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1.5형 당뇨병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로 채식위주의 식사를 하거나 과음하는 사람에게 잘 나타나므로 단백질의 부족이나 당분의 과잉섭취 같은 영양불균형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허갑범 명예교수는 “당뇨병은 그 유형에 따라 임상적 특징이 다를 뿐 아니라 치료방법도 달라져야 한다”면서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치료가 필수적이고, 제2형 당뇨병은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허 명예교수는 “이들 생활개선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안 될 때 인슐린작용을 개선하는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면서 “1.5형의 경우는 인슐린이나 인슐린분비촉진제를 1차로 사용하는 등 맞춤요법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