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23개 민-군-관 의료기관 네트워크 구축
국군병원을 비롯, 방사선보건연구원 등 4개 기관이 국가 방사선 비상진료기관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방사선 비상진료기관은 총 23개로 늘어났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근 제7차 방사선 비상진료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국군병원 3곳과 방사선 보건연구원 등 4개 기관을 비상진료기관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교과부 관계자는 "이번에 4개 기관이 추가되면서 중부권과 호남권 및 영남권에 걸친 전국 23개 민군관 의료기관이 망라된 국가 방사선 비상진료 네트워크가 구축됐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지난 2002년 최초로 한국원자력의학원에 국가비상진료센터를 설립한 이래 전국에 1, 2차 비상진료기관을 지정하면서 피폭환자 이송과 전문치료 및 비상진료요원의 교육을 실시해왔다.
또한 방사선 사고시 국제적 대응과 공조를 위해 세계보건기구와 국제원자력기구에서 마련한 국가 차원의 사고지원능력(의료지원, 공중보건방호 등 12개 항목)도 강화해왔다.
아울러 지난 12월에는 제1차 방사능방재발전계획을 수립해 5년간 총 686억원의 예산을 투입, 국가방사능방재기반 구축과 글로벌 방재대응기술을 확보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원자력시설에 대한 최고수준의 안정성을 확보해 국가 방사능재난관리분야의 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전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근 제7차 방사선 비상진료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국군병원 3곳과 방사선 보건연구원 등 4개 기관을 비상진료기관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교과부 관계자는 "이번에 4개 기관이 추가되면서 중부권과 호남권 및 영남권에 걸친 전국 23개 민군관 의료기관이 망라된 국가 방사선 비상진료 네트워크가 구축됐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지난 2002년 최초로 한국원자력의학원에 국가비상진료센터를 설립한 이래 전국에 1, 2차 비상진료기관을 지정하면서 피폭환자 이송과 전문치료 및 비상진료요원의 교육을 실시해왔다.
또한 방사선 사고시 국제적 대응과 공조를 위해 세계보건기구와 국제원자력기구에서 마련한 국가 차원의 사고지원능력(의료지원, 공중보건방호 등 12개 항목)도 강화해왔다.
아울러 지난 12월에는 제1차 방사능방재발전계획을 수립해 5년간 총 686억원의 예산을 투입, 국가방사능방재기반 구축과 글로벌 방재대응기술을 확보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원자력시설에 대한 최고수준의 안정성을 확보해 국가 방사능재난관리분야의 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