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실적 방어해라" 영업사원 압박 노골화

이석준
발행날짜: 2010-06-07 06:47:29
  • 국내 상위제약사, 쌍벌제 여파 줄이기 '안간힘'

국내 상위제약사들이 2분기 실적이 마무리되는 6월이 시작되자, 영업사원 실적 압박을 노골화하는 등 부쩍 예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정제약사 불매운동, 오리지널 쓰기 등 의료계가 내놓은 쌍벌제 관련 후속조치들이 실적에 반영될 첫 분기 성적표이기 때문이다.

상위 A사 영업사원은 7일 "(2분기가 마무리되는) 6월들어 대출 영업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실적을 내라는 요구가 많다"며 "하지만 공정경쟁규약 이후 회사 차원에서 나오는 리베이트성 판촉비가 줄어 기존 영업방식을 고수할 수 없는 것이 문제"라고 걱정했다.

또 다른 상위 B사 영업사원은 "5월 한달간 처방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몸소 느낀다"며 "위(회사)에서는 실적 유지하라고 닦달하고, 현장에 나가보면 2분기 실적은 보나마나 뻔한데 이런 상황이 답답하기만 하다"고 한숨지었다.

의료계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유행하고 있는 '처방변경 인증샷'도 골치거리다.

상위 C사 영업사원은 "친한 원장들한테 너희 약 처방변경 인증샷이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유행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심한 곳은 4월에 100만원을 처방했다면, 5월에는 10만원도 처방하지 않은 인증샷을 올려놓은 개원의도 있다고 했다"며 우려했다.

이 영업사원은 "실적 부진의 몫은 고스란히 영업사원에게 전가되는데, 이러다 짤리는 거 아닌지 모르겠다"고 푸념했다.

이같은 현장 분위기를 반영한 듯, 증권가의 전망도 맥을 같이 했다.

동아, 유한, 한미 등 국내 대표 상위제약사들의 2분기 외형성장이 6% 안팎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 것. 쌍벌제 등에 따른 의원급 영업위축이 그간 활성화됐던 처방약 부문에 적잖은 타격을 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기업별로는 동아제약 2175억원, 유한양행 1732억원, 한미약품 1661억원의 매출액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6.7%, 6.4%, 5.7%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