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권종연 센터장 “의료기기 진흥기관 역할 확대”
“각 부처가 자기 살을 도려내야 한다. 기득권을 버리고 상대방(식약처)이 더 잘 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기관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권종연 센터장이 직설화법으로 부처별 연구개발(R&D) 예산 편성과 지원방법의 대대적인 손질과 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7일 센터가 주최한 의료기기산업 발전 포럼에서 권 센터장은 의료기기업체들의 실질적인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연구개발 예산 편성과 반영을 주장했다.
에둘러 표현했지만 속내는 이렇다.
규제기관에서 의료기기 전주기 지원사업 등 산업진흥기관으로 변모한 식약처에 더 많은 연구개발 예산을 반영해야한다는 것.
“한 해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12조5000억원으로 이중 보건의료분야는 1580억원을 차지한다”고 운을 뗀 권종연 센터장은 “지금까지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은 부처별 ‘힘겨루기 식’으로 책정돼왔다”고 꼬집었다.
이어 “미래창조과학부는 원천기술 개발,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 지원,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총괄부서 명목으로 예산을 확보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작 의료기기업체들의 맞춤형 전주기 지원사업을 펼치는 식약처는 정책연구개발 예산만 있었을 뿐 실질적인 기술개발 지원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가 식약처 예산 반영 근거로 내세운 의료기기 전주기 지원사업은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가 수행 중인 ‘의료기기 통합정보 BANK’와 ‘차세대 의료기기 100 프로젝트’
온라인 기반 의료기기 통합정보 BANK는 부처별 제각각인 의료기기 연구개발·인허가·해외수출 등 각종 정보를 한 곳에서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또 차세대 의료기기 100 프로젝트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차세대 유망 의료기기 100개 제품(5년 간 매년 20개 선정)을 선정, 개발부터 수출까지 전주기에 걸쳐 맞춤형 멘토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맞춤형 멘토링 자문단은 식약처가 섭외한 학계·병원·기업·시험검사기관·의료기기 유관기관 등 외부 전문가와 식약처 의료기기 심사부 등 총 479명의 전문가로 구성돼있다.
그는 “식약처가 과거 규제기관에서 의료기기 개발부터 허가 및 해외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정보는 물론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기관으로 역할이 커진 만큼 더 많은 연구개발 예산 확보가 절실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5% 미만의 낮은 연구개발 사업화(제품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식약처에 더 많은 예산 반영이 요구된다는 입장 또한 피력했다.
권종연 센터장은 “정부 연구개발 자금 지원 평가항목을 보면 연구개발 실적, 부설연구소 존재 여부 등 부대조건들이 스타트업 수준 이상을 요구한다”며 “이러한 기준들이 정작 10인 미만·10억원 매출 미만이 80%를 차지하는 중소의료기기업체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식약처가 기술 평가를 통해 제품화 가능성이 높은 중소의료기기업체에 예산과 함께 연구 개발부터 인허가 및 해외수출에 이르는 실질적인 지원을 한다면 사업화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기관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권종연 센터장이 직설화법으로 부처별 연구개발(R&D) 예산 편성과 지원방법의 대대적인 손질과 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7일 센터가 주최한 의료기기산업 발전 포럼에서 권 센터장은 의료기기업체들의 실질적인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연구개발 예산 편성과 반영을 주장했다.
에둘러 표현했지만 속내는 이렇다.
규제기관에서 의료기기 전주기 지원사업 등 산업진흥기관으로 변모한 식약처에 더 많은 연구개발 예산을 반영해야한다는 것.
“한 해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12조5000억원으로 이중 보건의료분야는 1580억원을 차지한다”고 운을 뗀 권종연 센터장은 “지금까지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은 부처별 ‘힘겨루기 식’으로 책정돼왔다”고 꼬집었다.
이어 “미래창조과학부는 원천기술 개발,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 지원,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총괄부서 명목으로 예산을 확보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작 의료기기업체들의 맞춤형 전주기 지원사업을 펼치는 식약처는 정책연구개발 예산만 있었을 뿐 실질적인 기술개발 지원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가 식약처 예산 반영 근거로 내세운 의료기기 전주기 지원사업은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가 수행 중인 ‘의료기기 통합정보 BANK’와 ‘차세대 의료기기 100 프로젝트’
온라인 기반 의료기기 통합정보 BANK는 부처별 제각각인 의료기기 연구개발·인허가·해외수출 등 각종 정보를 한 곳에서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또 차세대 의료기기 100 프로젝트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차세대 유망 의료기기 100개 제품(5년 간 매년 20개 선정)을 선정, 개발부터 수출까지 전주기에 걸쳐 맞춤형 멘토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맞춤형 멘토링 자문단은 식약처가 섭외한 학계·병원·기업·시험검사기관·의료기기 유관기관 등 외부 전문가와 식약처 의료기기 심사부 등 총 479명의 전문가로 구성돼있다.
그는 “식약처가 과거 규제기관에서 의료기기 개발부터 허가 및 해외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정보는 물론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기관으로 역할이 커진 만큼 더 많은 연구개발 예산 확보가 절실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5% 미만의 낮은 연구개발 사업화(제품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식약처에 더 많은 예산 반영이 요구된다는 입장 또한 피력했다.
권종연 센터장은 “정부 연구개발 자금 지원 평가항목을 보면 연구개발 실적, 부설연구소 존재 여부 등 부대조건들이 스타트업 수준 이상을 요구한다”며 “이러한 기준들이 정작 10인 미만·10억원 매출 미만이 80%를 차지하는 중소의료기기업체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식약처가 기술 평가를 통해 제품화 가능성이 높은 중소의료기기업체에 예산과 함께 연구 개발부터 인허가 및 해외수출에 이르는 실질적인 지원을 한다면 사업화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