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수출 5년간 50% 성장…고가약제 수입에 적자폭 증가
의약품 수출은 5년 간 50% 넘게 성장했고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전체 의약품 수출의 34%를 차지해 합성의약품 등 다른 의약품에 비해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발디와 하보니정과 같은 고가 의약품 수입량도 늘어나 무역수지 적자폭이 2015년 대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의약품(바이오의약품 포함) 시장규모는 2015년 19조 2,364억원 대비 12.9% 증가한 21조 7,256억원으로 처음으로 20조원 대를 넘어섰으며, 바이오의약품도 생산실적 2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했다고 밝혔다.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2016년 18조 8,061억원으로 2015년(16조 9,696억원) 대비 10.8% 늘어났으며, 수출은 2016년 31억 2,040만달러(3조 6,209억원)로 전년(29억 4,726만달러, 3조 3,348억원) 대비 5.9% 증가했다.
의약품 수출은 31억 2,040만달러로 2015년(29억 4,727만달러) 대비 5.9% 증가했으며, 지난 5년 간 50% 넘게 성장했다.
이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수출(10억 6,397만달러)은 전체 의약품 수출의 34%를 차지해 합성의약품 등 다른 의약품에 비해 상승폭이 더 컸다.
의약품 수출실적은 20억 7,756만달러(`12년,17.5%)→ 21억 2,837만달러(`13년, 2.4% 증가)→ 24억 1,562만달러(`14년, 13.5% 증가)→ 29억 4,726만달러(`15년, 22.0% 증가)→ 31억 2,040만달러(`16년, 5.9% 증가)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은 37,531만 달러(`12년, 47.2% 증가)에서 40,458만 달러(`13년, 7.8% 증가), 58,892만 달러(`14년 45.6% 증가), 80,924만 달러(`15년 37.4% 증가), 106,397만 달러(`16년 31.5% 증가)로 나타났다.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100mg주의 수출 증가로 크로아티아로 수출이 대폭 증가(356.1%) 했으며, C형 간염치료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레디파스비르'와 '소포스부비어'의 수출이 많아져 아일랜드로의 수출 증가폭(75.1%)도 컸다.
한편 지난해 수입도 56억 3,632만달러(6조 5,404억원)로 2015년(49억 5,067만달러, 5조 6,016억원) 대비 13.8% 증가했다.
이는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보험약제 급여가 적용된 C형 간염치료제 '소발디정'(1억 2,152만달러, 27,620%)과 '하보니정'(7,140만달러, 1,933%) 수입이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수입 국가별로는 영국(8억 5,095만달러, 9,874억원), 미국(7억 5,902만달러, 8,808억원), 중국(6억 3,484만달러, 7,367억원), 독일(5억 7,533만달러, 6,676억원), 일본(4억 8,500만달러, 5,628억원) 등의 순이었다.
국가별 수입 실적 역시 영국이 2015년 3위에서 1위로 올라선 것은 C형 간염치료제인 '소발디정(27,620%)'과 '하보니정(1,933%)'의 급격한 수입 증가에 따른 것이다.
제약사별 생산실적은 한미약품이 2015년에 이어 7,047억원으로 1위를 유지했으며, 그 뒤로 종근당(6,846억원), 대웅제약(5,975억원), 녹십자(5,756억원) 등이었다.
완제의약품의 경우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와 B형 간염, 뇌수막염의 혼합백신인 퀸박셈주(933억원)가 2015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으며, 동맥경화치료제인 플라빅스정75mg(739억원), 녹십자-알부민주20%(728억원) 등의 순이었다.
원료의약품의 경우 램시마원액(4,139억원)이 전년에 이어 1위를 유지했으며, 유한화학레디파스비르아세톤용매화물(760억원), 소포스부비어(725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처음으로 2조원에 진입했으며, 수출도 1조원을 돌파하면서 2015년에 이어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소발디와 하보니정과 같은 고가 의약품 수입량도 늘어나 무역수지 적자폭이 2015년 대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의약품(바이오의약품 포함) 시장규모는 2015년 19조 2,364억원 대비 12.9% 증가한 21조 7,256억원으로 처음으로 20조원 대를 넘어섰으며, 바이오의약품도 생산실적 2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했다고 밝혔다.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2016년 18조 8,061억원으로 2015년(16조 9,696억원) 대비 10.8% 늘어났으며, 수출은 2016년 31억 2,040만달러(3조 6,209억원)로 전년(29억 4,726만달러, 3조 3,348억원) 대비 5.9% 증가했다.
의약품 수출은 31억 2,040만달러로 2015년(29억 4,727만달러) 대비 5.9% 증가했으며, 지난 5년 간 50% 넘게 성장했다.
이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수출(10억 6,397만달러)은 전체 의약품 수출의 34%를 차지해 합성의약품 등 다른 의약품에 비해 상승폭이 더 컸다.
의약품 수출실적은 20억 7,756만달러(`12년,17.5%)→ 21억 2,837만달러(`13년, 2.4% 증가)→ 24억 1,562만달러(`14년, 13.5% 증가)→ 29억 4,726만달러(`15년, 22.0% 증가)→ 31억 2,040만달러(`16년, 5.9% 증가)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은 37,531만 달러(`12년, 47.2% 증가)에서 40,458만 달러(`13년, 7.8% 증가), 58,892만 달러(`14년 45.6% 증가), 80,924만 달러(`15년 37.4% 증가), 106,397만 달러(`16년 31.5% 증가)로 나타났다.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100mg주의 수출 증가로 크로아티아로 수출이 대폭 증가(356.1%) 했으며, C형 간염치료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레디파스비르'와 '소포스부비어'의 수출이 많아져 아일랜드로의 수출 증가폭(75.1%)도 컸다.
한편 지난해 수입도 56억 3,632만달러(6조 5,404억원)로 2015년(49억 5,067만달러, 5조 6,016억원) 대비 13.8% 증가했다.
이는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보험약제 급여가 적용된 C형 간염치료제 '소발디정'(1억 2,152만달러, 27,620%)과 '하보니정'(7,140만달러, 1,933%) 수입이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수입 국가별로는 영국(8억 5,095만달러, 9,874억원), 미국(7억 5,902만달러, 8,808억원), 중국(6억 3,484만달러, 7,367억원), 독일(5억 7,533만달러, 6,676억원), 일본(4억 8,500만달러, 5,628억원) 등의 순이었다.
국가별 수입 실적 역시 영국이 2015년 3위에서 1위로 올라선 것은 C형 간염치료제인 '소발디정(27,620%)'과 '하보니정(1,933%)'의 급격한 수입 증가에 따른 것이다.
제약사별 생산실적은 한미약품이 2015년에 이어 7,047억원으로 1위를 유지했으며, 그 뒤로 종근당(6,846억원), 대웅제약(5,975억원), 녹십자(5,756억원) 등이었다.
완제의약품의 경우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와 B형 간염, 뇌수막염의 혼합백신인 퀸박셈주(933억원)가 2015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으며, 동맥경화치료제인 플라빅스정75mg(739억원), 녹십자-알부민주20%(728억원) 등의 순이었다.
원료의약품의 경우 램시마원액(4,139억원)이 전년에 이어 1위를 유지했으며, 유한화학레디파스비르아세톤용매화물(760억원), 소포스부비어(725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처음으로 2조원에 진입했으며, 수출도 1조원을 돌파하면서 2015년에 이어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