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항암제 '실툭시맙' 다발성 캐슬만병 근거 확보

발행날짜: 2020-04-09 10:29:22
  • 서울성모 혈액병원 연구팀, 15명 중 10명 증상 호전
    생존률 낮은 질병인데 새로운 치료기회 열려

국내 연구진이 항암치료에 실패한 '다발성 캐슬만병' 환자를 대상으로 표적항체치료제 '실툭시맙(siltuximab)'을 적용해 좋은 치료성적을 보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왼쪽부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조석구, 민기준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림프·골수종센터 조석구·민기준 교수팀은 9일 단일기관에서 2010년부터 11년 간 고식적인 항암치료(CHOP) 혹은 스테로이드 치료에 실패한 다발성 캐슬만병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툭시맙 치료반응을 분석했다.

다발성 캐슬만병은 림프종 전 단계 질환으로 림프절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질환이며, 체내 림프절이 있는 곳은 어디든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림프절 비대와 함께 전신권태감, 체중감소, 발열, 야간발한증, 전신부종과 간·비장 등 장기 비대·피부변화, 신경병증 등이다. 빈혈, 혈소판감소증, 단백뇨, 신증후군을 동반하기도 한다.

하지만 분석 결과, 실툭시맙을 투약한 치료 불응성, 재발성 캐슬만병 환자는 치료 시작시점부터 증상 호전까지 평균 22일 소요됐고 대부분 뚜렷한 증상 호전 효과를 보였다. 혈액검사 상 헤모글로빈, 알부민, 적혈구침강계수 등의 지표가 유의하게 정상수준으로 회복되는데 약 3개월이 소요됐다.

림프결절 또는 장기침범 병변의 뚜렷한 호전은 영상검사(경부, 흉부, 복부의 컴퓨터단층촬영)를 통해 치료 시작 6개월 이후 확인됐으며, 완전관해 3명, 부분관해 7명으로 나타나 15명 중 10명의 환자가 실툭시맙 치료에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또한 조 교수팀은 장기적인 실툭시맙 치료 유지에도 불구하고 약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는 위중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인 점을 증명했다.

다발성 캐슬만병은 생존기간 중앙값이 14~30개월에 불과할 정도로 무서운 질병이지만 매우 희귀한 질환이고 국내 환자수도 드물어 실툭시맙 치료 반응에 대한 적절한 임상경험과 치료성적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조 교수팀은 치료제의 치료 효과와 임상경과, 안정성을 증명한 이번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다발성 캐슬만병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들 사이에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논문의 교신저자인 조석구 교수는 "캐슬만병은 발병 빈도가 낮고, 1차 표준치료가 최근까지 정립되지 못했던 희귀 질환으로, 그간 재발하거나 고식적인 치료에 불응하는 환자에 대한 치료법이 마땅치 않았다"며 "이번 연구는 희귀질환에 대해 단일기관에서 비교적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툭시맙 치료를 지속하며 얻은 임상경험에 대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 교수팀은 실툭시맙이 국내에서 2018년 2월부터 의료보험 대상으로 지정됐다는 점을 지목하며 향후 더욱 많은 국내 환자들이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민기준 교수는 "다발성 캐슬만병은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며 시름시름 앓다가 사망하는 병으로, 생존기간 중앙값이 14~30개월에 불과하다"면서 "실툭시맙의 치료효과를 보여준 이번 연구는 국내 다발성 캐슬만병 환자에게 좋은 소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내과학회지(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IF 2.714)’ 온라인판에 2월 24일자로 게재됐다.

관련기사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