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기한 19일, 임명 강행 다분…"윤정부 적합 인사 재지명해야"
의료산업 이익 대변·공인 부적절 의혹 쏟아져 "심각한 이해충돌"
보건의료노조가 김승희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지연에 우려감을 표명하면서 조속한 지명 철회를 재차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은 16일 성명서를 통해 "환자안전보다 규제 완화에 앞장선 전력과 공인으로 부적절한 의혹을 지닌 김승희 장관 후보자의 지명 철회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는 "김승희 복지부장관 후보자의 청문회가 계속해서 연기되고 있다. 그 사이 후보자의 부적절한 과거 행보에 대한 지적은 쏟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인사청문 기한이 19일로 얼마 남지 않아 청문회 없이 임명이 강행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존재한다"며 국회의 조속한 청문회를 촉구했다.
김 후보자의 논란은 의료산업 업계 이익 대변과 정치자금법 위반 그리고 자녀의 취업비리와 어머니의 위장전입으로 압축된다.
노조 측은 "김 후보자는 국회의원 임기 후 2020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바이오제약 전문 법무법인 클라스에서 고문으로 재직하며 고문료 1억 6080억원을 받기도 했다. 고문 재직 동안 심평원과 건보공단을 상대로 각 3건과 2건의 소송을 대리했으며 그 중 불법행위 요양기관 소송을 대리한 내용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직전까지 복지부 산하기관을 상대로 소송을 진행했던 법무법인 고문으로 일했던 사람이 복지부장관이 되는 것은 심각한 이해충돌"이라며 "국회의원 재직 시 재정 건전성을 이유로 보장성 강화를 반대했고, 정치적 의도가 다분하다며 공공의료 설립도 반대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치매전담 요양시설과 돌봄 사업, 사회서비스원 등 예산을 대폭 삭감하자도 주장했다. 의료공공성 강화와 공적 돌봄 체계의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역행할 뿐 아니라 아동수당 확대 등을 내세우고 있는 윤정부의 복지정책 노선과도 배치된다"고 꼬집었다.
보건의료노조는 "국회의 개점휴업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조차 거치지 않은 채 임명될 수 있는 상황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하루 빨리 지명 철회와 함께 적합한 인사를 재지명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