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준 교수, 차세대 신약개발에 유용한 역할 기대
DNA 칩 진단법을 이용한 면역과민반응의 조절기전이 국내 과학자에 의해 규명됐다.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김영준 교수가 이끄는 산학연구팀(디지털노믹스)은 과학기술부의 지원을 받아 면역과민반응을 억제해 패혈증, 아토피와 같은 질환을 억제하는 메커니즘과 과도한 염증이 암 발생을 유도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김교수팀은 면역세포가 어떻게 침입한 세균을 인지해 방어기능을 일으키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DNA 칩 진단법을 활용해 면역반응 때 중요하게 작용하는 유전자와 그 기능을 탐색했다.
그 결과 세균감염 때 항세균 단백질과 사이토카인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NF-kB 신호전달체계 뿐 아니라 세포의 움직임을 촉진시켜 세균을 잘 잡아먹게 만드는 AP-1 신호전달 체계가 면역 세포 안에서 동시에 활성화되어 침입한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활성화된 두 신호전달체계가 서로의 활성을 억제해 전체 면역방어반응을 중지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이들 두 신호전달체계중 하나의 기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는 면역억제제와 항암제의 개발전략이 한 신호전달체계만 억제할 경우 신호전달계를 과도하게 활성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규명한 것이다.
김영준 교수는 “질병 발생관련 신호 전달 경로간의 상호작용이 규명됨에 따라 신약개발 전략에도 수정이 필요하다”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DNA 칩 진단법을 여러 신호 전달 경로를 분석하는 도구로 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말했다.
김교수팀은 앞으로 두 신호전달체계의 상호 견제능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과 면역억제제 및 항암을 목적으로 하는 신약개발과 질병진단에 이용될 수 있는 진단용 DNA 칩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이 연구결과는 면역계 분야의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면역학 인터넷 판과 2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김영준 교수가 이끄는 산학연구팀(디지털노믹스)은 과학기술부의 지원을 받아 면역과민반응을 억제해 패혈증, 아토피와 같은 질환을 억제하는 메커니즘과 과도한 염증이 암 발생을 유도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김교수팀은 면역세포가 어떻게 침입한 세균을 인지해 방어기능을 일으키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DNA 칩 진단법을 활용해 면역반응 때 중요하게 작용하는 유전자와 그 기능을 탐색했다.
그 결과 세균감염 때 항세균 단백질과 사이토카인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NF-kB 신호전달체계 뿐 아니라 세포의 움직임을 촉진시켜 세균을 잘 잡아먹게 만드는 AP-1 신호전달 체계가 면역 세포 안에서 동시에 활성화되어 침입한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활성화된 두 신호전달체계가 서로의 활성을 억제해 전체 면역방어반응을 중지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이들 두 신호전달체계중 하나의 기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는 면역억제제와 항암제의 개발전략이 한 신호전달체계만 억제할 경우 신호전달계를 과도하게 활성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규명한 것이다.
김영준 교수는 “질병 발생관련 신호 전달 경로간의 상호작용이 규명됨에 따라 신약개발 전략에도 수정이 필요하다”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DNA 칩 진단법을 여러 신호 전달 경로를 분석하는 도구로 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말했다.
김교수팀은 앞으로 두 신호전달체계의 상호 견제능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과 면역억제제 및 항암을 목적으로 하는 신약개발과 질병진단에 이용될 수 있는 진단용 DNA 칩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이 연구결과는 면역계 분야의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면역학 인터넷 판과 2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