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내시경용 치료 시스템·전동 복강경 시제품 개발

7일 올림푸스한국에 따르면, 시제품 개발에 성공한 시스템은 ‘소화기 내시경용 치료 지원 시스템’과 ‘전동 복강경’ 2종.
이중 ‘소화기 내시경용 치료 지원 로봇 시스템’은 내시경과 2개의 다관절 처치구, 이 둘을 감싸는 튜브, 그리고 제어용 외부 콘솔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기 위암·식도암을 비수술적으로 치료하는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의 경우 현재는 내시경 자체를 움직여 그 끝에서 나오는 처치구로 병변을 제거하는 방식이 쓰인다.
하지만 새로운 시스템을 이용하면 의사는 내시경과 별도로 처치구를 움직일 수 있고, 처치구도 다관절 구조를 통해 유연하게 구부러지기 때문에 시술이 더욱 수월해진다.
이는 향후 식도, 위, 소장, 대장, 십이지장 등 위장관계 치료에서 더 많은 영역에 적용되고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 기술이 함께 적용된 ‘다각도 전동 복강경’은 복강경 끝의 각도를 전동으로 조절해 관찰하고자 하는 부위에 화면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

이번에 개발한 복강경은 원하는 시야에서 잠금 기능(Lock-on)을 이용해 화면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복강경 각도를 계속해서 조정하지 않아도 돼 의료진 협업을 도와주고 수술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올림푸스는 향후 이 두 가지 시스템의 상용화를 통해 최소침습 치료 혁신에 앞장서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