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②42개 상급종합병원장 심층면담 설문…보장성 강화 여파는?
|메디칼타임즈 특별취재팀| 상급종합병원 병원장 10명 중 8명은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 즉, 문재인 케어 이후 환자쏠림 현상을 겪고 있다고 봤다.
또 밀려드는 환자에 의사 및 간호사외 직원들의 업무 과부하는 극심해지고 있으며 응급실 과밀화가 높아져 정작 치료 받아야할 중증환자를 놓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매우 높았다.
메디칼타임즈가 창간 16주년을 맞아 전국 42곳의 상급종합병원(이하 상종) 병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총 28곳의 병원장이 설문에 답했다.
설문은 경증환자 쏠림, 심야까지 이어지는 수술, 응급실 과밀화, 환자증가에 따른 인력부족, 수도권-지방 양극화, 24시간 돌아가는 CT-MRI, 외래환자 대기, 환자증가에 따른 병상부족, 직원업무 과부하 등 항목에 대해 10점 기준 개선 필요성 점수를 매기고 그 이유는 듣는 식으로 진행했다.
상종 병원장들은 9개 항목 중 경증환자 쏠림, 응급실 과밀화, 수도권-지방 양극화, 직원들의 업무 과부하 등에 평균 8점 이상을 줬다. 의료현장에서 체감하는 환자쏠림 여파에 몸살을 앓고 있다고 토로했다. 특히 심층면담에 응한 병원장들은 지금의 상태가 지속되면 의료생태계가 붕괴할 수 있다는 질책을 쏟아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증환자 쏠림현상은 전라권을 제외한 서울권, 경기권, 강원충청권, 경상권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서울권은 10점 만점에 7.4점, 경기권은 7.7점, 강원충청권은 7.7점으로 대부분이 심각하다고 바라봤다.
이와 더불어 지난 1일자<관련기사: |창간기획①|문케어 2년, 빅5 병동은 마비 직전…환자가 위험하다>에서 보도했듯, 병원장 상당수가 응급실 과밀화를 우려했다.
설문에 답한 상종 병원장 75%이상이 '응급실 과밀화' 개선 필요성에 10점 만점에 7점 이상을 줬다. 즉, 그만큼 당장 대책을 강구해야한다는 얘기다.
환자증가에 따른 인력부족 개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10점 만점에 서울권 병원장은 평균 6.4점, 경기권 6.6점, 강원충청권 6.6점, 경상권 6.7점, 전라권 5점으로 집계됐다.
환자 증가에 따른 직원업무 과부하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상종 병원장 75%이상이 10점 만점에 7점이상을 줬다. 서울권 S대학병원장은 "병동, 외래 쏠림이 극심하진 않음에도 CT,MRI급여화 이후 검사비 부담이 사라지면서 검사를 요구하는 환자가 급증했다"며 "검사실 직원들의 업무 과부하가 극심하다"고 말했다.
경상권 한 병원장은 "경증환자의 외래 대기시간 증가로 중증환자 진료가 늦어질까 우려스럽다"며 "외래진료 대기상태나 응급실 과밀화는 통계상으로는 나타나지 않다보니 정부에선 안일하게 바라보는 경향이 짙다"고 꼬집었다. 수치상으로만 문제점을 진단하면 탁상행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지적.
소위 빅5병원 중 한 병원장은 "빅5병원은 더 이상 의료인력 및 공간을 투자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의료진과 직원만 1만여명을 넘나드는 상태. 비정상이 정상으로 굳어지고 있다. 환자를 분산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했다.
상종 병원장이 환자쏠림에 우려를 제기하는 이유는 경증 환자에 치여 중증환자에 집중할 수 없고, 결국에는 치료받아야할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K대학병원장은 "병상가동률이 70%에서 90%로 상승하면 난리날 것 같지만 사실은 병상가동률 91%로 이미 풀가동 중인 상태에서 1%상승하는 편이 훨씬 위험하다"며 "임계점을 넘으면 붕괴한다. 되돌리기 힘든 상태에 빠진다"고 경고했다.
환자쏠림에 따른 상급종합병원의 경영상태는 어떨까. 설문에 응한 병원장 상당수는 "지금의 현상이 병원 경영에는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권 K대학병원장은 "원가대비 수익은 떨어진다. 환자는 증가했지만 의료인력과 공간이 더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일정 수준은 성과급 및 수당만 지급하면 되지만 변곡점을 넘어서면 안 먹혀드는 상태에 이른다. 지금이 바로 그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상종 병원장들의 또 다른 우려는 양극화. 수도권과 지방간 격차 이외에도 동일한 수도권 내에서도 빅5병원으로의 환자쏠림에 대해 대책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서울권 병원장들은 상종간 양극화 개선 필요성을 10점 만점에 7.6점을, 경기권과 강원충청권은 7.2점을 매겼으며 경상권은 8.7점, 전라권은 8점으로 매우 심각한 상태라고 봤다.
전라권에 위치한 상종의 경우에는 일부 환자쏠림현상이 높다고 했지만 일부 병원장은 "남의 나라 얘기"라고 답해 평균 5점에 그쳤다. 환자쏠림 현상은 서울권 상종, 그중에서도 빅5병원들의 얘기일 뿐이라는 게 이들의 지적이다.
서울권 상종 병원장 중에서도 일부는 "수도권에서도 환자쏠림은 빅5병원과 그 이외의 병원으로 구분된다"고 답했으며 그중 한 병원장은 "쏠림은 커녕 환자를 유치해야할 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빅5병원 한 병원장은 "암 환자 90%이상이 상종부터 간다. 그것도 2~3곳을 돈다. 수술을 해당 병원에서 하느냐는 또 별개"라며 "경증환자가 위협이라기 보다는 모든 환자가 상종을 거쳐가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또 다른 빅5병원장은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상종 수요가 급증, 의료진의 피로감 증가로 이어져 환자안전 및 의료질 향상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한편 1, 2차 의료기관의 경영난이 극심해져 파산하면 이 또한 환자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한편, 심야까지 이어지는 수술, 환자증가에 따른 병상부족, CT·MRI검사 24시간 운영 등에 대한 개선 필요성은 병원별로 격차가 보여 공통적인 과제로 떠오르지는 않았다.
또 밀려드는 환자에 의사 및 간호사외 직원들의 업무 과부하는 극심해지고 있으며 응급실 과밀화가 높아져 정작 치료 받아야할 중증환자를 놓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매우 높았다.
메디칼타임즈가 창간 16주년을 맞아 전국 42곳의 상급종합병원(이하 상종) 병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총 28곳의 병원장이 설문에 답했다.
설문은 경증환자 쏠림, 심야까지 이어지는 수술, 응급실 과밀화, 환자증가에 따른 인력부족, 수도권-지방 양극화, 24시간 돌아가는 CT-MRI, 외래환자 대기, 환자증가에 따른 병상부족, 직원업무 과부하 등 항목에 대해 10점 기준 개선 필요성 점수를 매기고 그 이유는 듣는 식으로 진행했다.
상종 병원장들은 9개 항목 중 경증환자 쏠림, 응급실 과밀화, 수도권-지방 양극화, 직원들의 업무 과부하 등에 평균 8점 이상을 줬다. 의료현장에서 체감하는 환자쏠림 여파에 몸살을 앓고 있다고 토로했다. 특히 심층면담에 응한 병원장들은 지금의 상태가 지속되면 의료생태계가 붕괴할 수 있다는 질책을 쏟아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증환자 쏠림현상은 전라권을 제외한 서울권, 경기권, 강원충청권, 경상권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서울권은 10점 만점에 7.4점, 경기권은 7.7점, 강원충청권은 7.7점으로 대부분이 심각하다고 바라봤다.
이와 더불어 지난 1일자<관련기사: |창간기획①|문케어 2년, 빅5 병동은 마비 직전…환자가 위험하다>에서 보도했듯, 병원장 상당수가 응급실 과밀화를 우려했다.
설문에 답한 상종 병원장 75%이상이 '응급실 과밀화' 개선 필요성에 10점 만점에 7점 이상을 줬다. 즉, 그만큼 당장 대책을 강구해야한다는 얘기다.
환자증가에 따른 인력부족 개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10점 만점에 서울권 병원장은 평균 6.4점, 경기권 6.6점, 강원충청권 6.6점, 경상권 6.7점, 전라권 5점으로 집계됐다.
환자 증가에 따른 직원업무 과부하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상종 병원장 75%이상이 10점 만점에 7점이상을 줬다. 서울권 S대학병원장은 "병동, 외래 쏠림이 극심하진 않음에도 CT,MRI급여화 이후 검사비 부담이 사라지면서 검사를 요구하는 환자가 급증했다"며 "검사실 직원들의 업무 과부하가 극심하다"고 말했다.
경상권 한 병원장은 "경증환자의 외래 대기시간 증가로 중증환자 진료가 늦어질까 우려스럽다"며 "외래진료 대기상태나 응급실 과밀화는 통계상으로는 나타나지 않다보니 정부에선 안일하게 바라보는 경향이 짙다"고 꼬집었다. 수치상으로만 문제점을 진단하면 탁상행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지적.
소위 빅5병원 중 한 병원장은 "빅5병원은 더 이상 의료인력 및 공간을 투자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의료진과 직원만 1만여명을 넘나드는 상태. 비정상이 정상으로 굳어지고 있다. 환자를 분산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했다.
상종 병원장이 환자쏠림에 우려를 제기하는 이유는 경증 환자에 치여 중증환자에 집중할 수 없고, 결국에는 치료받아야할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K대학병원장은 "병상가동률이 70%에서 90%로 상승하면 난리날 것 같지만 사실은 병상가동률 91%로 이미 풀가동 중인 상태에서 1%상승하는 편이 훨씬 위험하다"며 "임계점을 넘으면 붕괴한다. 되돌리기 힘든 상태에 빠진다"고 경고했다.
환자쏠림에 따른 상급종합병원의 경영상태는 어떨까. 설문에 응한 병원장 상당수는 "지금의 현상이 병원 경영에는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권 K대학병원장은 "원가대비 수익은 떨어진다. 환자는 증가했지만 의료인력과 공간이 더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일정 수준은 성과급 및 수당만 지급하면 되지만 변곡점을 넘어서면 안 먹혀드는 상태에 이른다. 지금이 바로 그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상종 병원장들의 또 다른 우려는 양극화. 수도권과 지방간 격차 이외에도 동일한 수도권 내에서도 빅5병원으로의 환자쏠림에 대해 대책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서울권 병원장들은 상종간 양극화 개선 필요성을 10점 만점에 7.6점을, 경기권과 강원충청권은 7.2점을 매겼으며 경상권은 8.7점, 전라권은 8점으로 매우 심각한 상태라고 봤다.
전라권에 위치한 상종의 경우에는 일부 환자쏠림현상이 높다고 했지만 일부 병원장은 "남의 나라 얘기"라고 답해 평균 5점에 그쳤다. 환자쏠림 현상은 서울권 상종, 그중에서도 빅5병원들의 얘기일 뿐이라는 게 이들의 지적이다.
서울권 상종 병원장 중에서도 일부는 "수도권에서도 환자쏠림은 빅5병원과 그 이외의 병원으로 구분된다"고 답했으며 그중 한 병원장은 "쏠림은 커녕 환자를 유치해야할 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빅5병원 한 병원장은 "암 환자 90%이상이 상종부터 간다. 그것도 2~3곳을 돈다. 수술을 해당 병원에서 하느냐는 또 별개"라며 "경증환자가 위협이라기 보다는 모든 환자가 상종을 거쳐가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또 다른 빅5병원장은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상종 수요가 급증, 의료진의 피로감 증가로 이어져 환자안전 및 의료질 향상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한편 1, 2차 의료기관의 경영난이 극심해져 파산하면 이 또한 환자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한편, 심야까지 이어지는 수술, 환자증가에 따른 병상부족, CT·MRI검사 24시간 운영 등에 대한 개선 필요성은 병원별로 격차가 보여 공통적인 과제로 떠오르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