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사회, 첫 지자체 재택치료 출범식 열고 모형 공개
하루 2회 환자 모니터링…24시간 비대면 진료·처방 시스템 필요
의료단체와 지자체가 마련한 첫 의원급 재택치료 모델이 공개됐다. 협의체를 통한 첫 의원급 재택치료 모델인 만큼 향후 다른 지자체로의 확산이 기대된다.
13일 서울시의사회는 '코로나19 재택치료관리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 출범식을 개최하고 향후 서울특별시에서 진행하는 의원급 재택치료 방향을 공개했다. 이날 출범식엔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 25개 구의사회 회장들이 참석했다.
앞서 서울시의사회는 지난달 중순부터 서울시 및 25개 구의사회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서울형 의원급 재택치료 모델을 논의해왔는데 이날 세부 내용이 공식화됐다.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에 참여하기 위한 의료기관은 24시간 건강모니터링 및 비대면 진료를 위한 담당 인력과 시설을 구비해야 한다.
세부 내용을 보면 의사는 호흡기질환 진료경험이 있는 1차 의료기관 소속이어야 한다. 참여의료기관은 해당 기관의 역량과 운영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구의사회 재택치료 운영단'이 선정한다.
인력 세부 요건은 1개소 의료기관 모델과 컨소시엄 모델로 나뉜다. 1개소 의료기관은 담당 의사가 1인 당 50명 미만의 환자를 관리한다. 컨소시엄 모델은 2개소 이상 의료기관의 의사들로 구성된다. 1개 컨소시엄 당 100명 미만의 환자를 담당한다.
이들의 역할은 하루에 오전·오후 총 2회 환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비대면 상담 및 처방을 실시한다.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확인 및 비대면 진료를 실시하고,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이송 요청을 할 수 있다. 재택치료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예비의사제도·업무용 스마트폰 활용 등의 방안도 마련했다.
면책 규정으로는 '관련 기준을 준수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했음에도 건강 악화 등 응급상황이나 사고가 생기는 경우 해당 의료진이나 재택치료관리의료기관의 책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조직구성은 각 구의사회가 '재택치료 운영단'을 만들고 참여 의료기관의 선정·해지 및 각 지역의 운영을 담당한다. 서울시의사회는 각 구의사회와 협의체를 결성하고 전반적인 운영을 맡는다. 서울시 재택치료 지원센터 운영 방안도 추가해 해당 센터는 서울시 재택치료환자 진료상담 및 응급상황 대응을 담당하고 구의사회 재택치료 운영단도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은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의 당위성과 관련해 "이 모델은 개별 동네의원 역량과 운영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구의사회를 위주로 재택치료운영단을 만들어 의원급 재택치료 기관의 선정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기존의 단골환자가 확진됐을 시 우선적으로 해당기관에 배정해 보다 안전한 재택치료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재택치료 참여기관 선정과 관련해 "14일(화) 각 구의사회에 참여기준이 담긴 참여안내 공문을 보내고 목요일까지 참여의사를 가진 기관을 모으고 주말경 적합성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며 "다음주 월요일(20일) 선정된 기관을 해당 구의사회와 구청에 등록하고 21일부터 참여 의료기관에 환자를 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이어 의원급 의료기관 참여 규모와 관련해서는 "아직 각 의료기관의 참여의사를 확인하지 못해 얼마 만큼의 기관이 참여할지 예단하기 어렵다"며 "다만 상당수의 의원이 참여해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13일 서울시의사회는 '코로나19 재택치료관리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 출범식을 개최하고 향후 서울특별시에서 진행하는 의원급 재택치료 방향을 공개했다. 이날 출범식엔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 25개 구의사회 회장들이 참석했다.
앞서 서울시의사회는 지난달 중순부터 서울시 및 25개 구의사회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서울형 의원급 재택치료 모델을 논의해왔는데 이날 세부 내용이 공식화됐다.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에 참여하기 위한 의료기관은 24시간 건강모니터링 및 비대면 진료를 위한 담당 인력과 시설을 구비해야 한다.
세부 내용을 보면 의사는 호흡기질환 진료경험이 있는 1차 의료기관 소속이어야 한다. 참여의료기관은 해당 기관의 역량과 운영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구의사회 재택치료 운영단'이 선정한다.
인력 세부 요건은 1개소 의료기관 모델과 컨소시엄 모델로 나뉜다. 1개소 의료기관은 담당 의사가 1인 당 50명 미만의 환자를 관리한다. 컨소시엄 모델은 2개소 이상 의료기관의 의사들로 구성된다. 1개 컨소시엄 당 100명 미만의 환자를 담당한다.
이들의 역할은 하루에 오전·오후 총 2회 환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비대면 상담 및 처방을 실시한다.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확인 및 비대면 진료를 실시하고,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이송 요청을 할 수 있다. 재택치료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예비의사제도·업무용 스마트폰 활용 등의 방안도 마련했다.
면책 규정으로는 '관련 기준을 준수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했음에도 건강 악화 등 응급상황이나 사고가 생기는 경우 해당 의료진이나 재택치료관리의료기관의 책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조직구성은 각 구의사회가 '재택치료 운영단'을 만들고 참여 의료기관의 선정·해지 및 각 지역의 운영을 담당한다. 서울시의사회는 각 구의사회와 협의체를 결성하고 전반적인 운영을 맡는다. 서울시 재택치료 지원센터 운영 방안도 추가해 해당 센터는 서울시 재택치료환자 진료상담 및 응급상황 대응을 담당하고 구의사회 재택치료 운영단도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은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의 당위성과 관련해 "이 모델은 개별 동네의원 역량과 운영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구의사회를 위주로 재택치료운영단을 만들어 의원급 재택치료 기관의 선정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기존의 단골환자가 확진됐을 시 우선적으로 해당기관에 배정해 보다 안전한 재택치료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재택치료 참여기관 선정과 관련해 "14일(화) 각 구의사회에 참여기준이 담긴 참여안내 공문을 보내고 목요일까지 참여의사를 가진 기관을 모으고 주말경 적합성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며 "다음주 월요일(20일) 선정된 기관을 해당 구의사회와 구청에 등록하고 21일부터 참여 의료기관에 환자를 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이어 의원급 의료기관 참여 규모와 관련해서는 "아직 각 의료기관의 참여의사를 확인하지 못해 얼마 만큼의 기관이 참여할지 예단하기 어렵다"며 "다만 상당수의 의원이 참여해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