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우 구로구의사회장
정부 지침 상 재택치료 관리기관이 되려면 24시간 운영이 가능해야 한다.
재택환자의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는 상황에서 당직시스템이 없는 1차 의료기관의 자택 on-call 당직은 환자의 증상이 악화될 때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고, 환자와 보호자들이 자신을 담당하는 당직의가 집에서 모니터링 중이란 사실을 알게 된다면 불안이 클 수밖에 없다는 점이 고려됐다고 한다.
그러나 2차 기관에서 모니터링하는 환자는 병원에서 직접 대면 치료를 하는지 묻고 싶다. 의원급 재택 치료기관에서 모니터링하는 환자나 2차 기관에서 재택치료 모니터링하는 환자나 자신의 집에서 머무르면서 재택치료를 받는 것은 동일하다.
우리나라는 1차 의료 기관 의사가 본인의 자택이나 전국 어느 곳에서 주야간 본인의 스마트폰으로 환자진료시스템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한 IT 강국이다.
단점은 스마트폰 화면이 작다는 것이지만, 노트북으로 접속하고 업무폰으로 환자와 대화하면서 야간에 충분히 응급상황에 대처가 가능하며 필요 시 119에 이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의사들은 수련기간 동안, 아니 의사로 생활하는 내내 심야시간에 자신을 호출하는 전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대처하는 훈련을 강도 높게 받아왔다. 당국에서 걱정하는 ‘야간에 환자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지 않겠는가’하는 우려는 아마도 정부의 기우가 아닐까 한다.
또한 현재의 의원급 재택치료 서울형 모델 I, II는 컨소시엄으로 당직을 서는 I 형과 서울시의사회 야간 지원센터가 당직을 담당하는 II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서울형 모델에서 발전한 구로형 모델은 야간 on-call 당직이 보건소 당국으로부터 허용되면서 출발했다.
서울형 모델이 야간 on-call 당직이 허용된 구로형 의원급 재택치료 모델로 발전하는 것처럼, 각 시군구 의사회에 자율성이 부과된다면 지역 사정에 맞는 더욱 발전된 새로운 재택치료 모델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오미크론 변종의 확산에 하루 확진자 수는 1월 중순 하루 3~4000명에서 1월 하순 7000명으로, 이후 1만3000명~1만7000명대 등 유행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백신 3 차 접종 진행 등의 영향으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는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60세 이하의 경증 환자의 재택치료는 의원급 의료기관에 맡기고 병실이 있는 2차 의료기관은 60대 이상, 기저질환자, 50대 미접종자 등의 검사와 진료, 치료를 담당하며, 3차 의료기관은 위중증 환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전달체계를 유지해야 우리나라의 의료시스템이 붕괴되지 않고 원활히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환자 이외의 더욱 더 많은 수의 일반 환자에 대한 충실한 진료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