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각 구의사회, 지난 21일 재택치료 조직 구성 완료
대기 의료진만 100여명…지자체 비협조로 환자 배정 난항
의원급 재택치료 사업이 거듭 지연되면서 의료계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의사회가 각 구의사회를 중심으로 관련 조직을 구성한 지 2주째 접어들었지만, 지자체 비협조로 환자 배정은 시작도 못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13일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을 출범한 뒤 21일부터 환자 배정을 배정받아 본격적으로 의원급 재택치료를 시행하려고 했다. 하지만 구청의 비협조로 난항을 겪어 27일, 구로구부터 시작하려고 했지만 이마저도 지연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 재택치료는 내년 1월 중 4개 구부터 시행될 전망이지만, 정확한 시행 일자와 참여 자치구에 대한 윤곽은 아직이다.
서울시의사회와 각 구의사회는 지난 21일 시행을 목표로 재택치료를 추진한 만큼, 관련 조직구성을 완료했지만 2주째 환자를 배정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21일 야간 진료를 담당하는 재택치료지원센터를 개소해 자원봉사 의사 및 간호인력 27명을 충원했으며, 구로구의사회는 같은 날 8명의 임원으로 구성된 재택치료 운영단을 구성하고 5곳의 의료기관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노원구의사회도 재택치료 운영위원단을 구성하고 노원구 소재 10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1차 컨소시엄 모델을 구축했으며, 중랑구의사회 역시 해당 지역 31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코로나19 재택의료지원단 구성을 완료한 상황이다. 동대문구의사회에선 본회 운영단을 중심으로 16곳의 의료기간이 재택치료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의원급에서 100여명의 의료진과 재택치료 인프라가 갖춰졌지만, 정작 환자 배정이 이뤄지지 않아 무한 대기상태다.
그렇다면 왜 자치구는 의원급 재택치료에 미온적일까. 가장 큰 이유는 행정적 부담 때문이다. 현재 운영 중인 병원급 재택치료로도 큰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의료기관이 추가된다면 업무에 혼선이 생길 수 있다는 게 그들의 속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은 지난 29일 열린 좌담회에서 "각 구 구청장과 추진단장으로 있는 부구청장, 또 보건소장들이 의원급 재택치료의 취지를 이해하고는 있다"며 "하지만 실행 단계에서 '현재 병원급 모델이 큰 문제없이 돌아가고 있으니 코로나 상황이 더 악화되면 그때 고려해 보겠다'고 해 안타까움이 생기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서초구보건소 우선옥 소장은 "보건소 입장에선 행정적인 애로사항이 있을 것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못하는 자치구가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위드코로나로 가게 되면 의원급이 확진자를 치료하는 역할을 또 해야 되고 이를 위해 지금부터 진료경험을 쌓아야 된다"고 강조했다.
위드코로나를 대비해 의원급 재택치료는 필수 불가결하다는 게 의료계의 중론.
위드코로나 시행 후 코로나19 확진자가 7000~8000명대로 뛰었을 당시, 일선 의료진이 적정 인원 3~4배의 재택치료자를 관리했던 만큼 기존 체계를 보완해야 된다는 것.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등장도 변수다.
이와 관련해 의료계 한 관계자는 "처음 시행하는 사업인 만큼 행정적, 법률적 문제가 있을 수는 있지만, 이는 정부 차원에서 대안을 제시해줘야 하는 사안"이라며 "하지만 정부는 이를 이유로 매뉴얼 작성 단계에만 머물러 있어 의원급 재택치료 참여 의료진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고 꼬집었다.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13일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을 출범한 뒤 21일부터 환자 배정을 배정받아 본격적으로 의원급 재택치료를 시행하려고 했다. 하지만 구청의 비협조로 난항을 겪어 27일, 구로구부터 시작하려고 했지만 이마저도 지연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 재택치료는 내년 1월 중 4개 구부터 시행될 전망이지만, 정확한 시행 일자와 참여 자치구에 대한 윤곽은 아직이다.
서울시의사회와 각 구의사회는 지난 21일 시행을 목표로 재택치료를 추진한 만큼, 관련 조직구성을 완료했지만 2주째 환자를 배정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21일 야간 진료를 담당하는 재택치료지원센터를 개소해 자원봉사 의사 및 간호인력 27명을 충원했으며, 구로구의사회는 같은 날 8명의 임원으로 구성된 재택치료 운영단을 구성하고 5곳의 의료기관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노원구의사회도 재택치료 운영위원단을 구성하고 노원구 소재 10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1차 컨소시엄 모델을 구축했으며, 중랑구의사회 역시 해당 지역 31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코로나19 재택의료지원단 구성을 완료한 상황이다. 동대문구의사회에선 본회 운영단을 중심으로 16곳의 의료기간이 재택치료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의원급에서 100여명의 의료진과 재택치료 인프라가 갖춰졌지만, 정작 환자 배정이 이뤄지지 않아 무한 대기상태다.
그렇다면 왜 자치구는 의원급 재택치료에 미온적일까. 가장 큰 이유는 행정적 부담 때문이다. 현재 운영 중인 병원급 재택치료로도 큰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의료기관이 추가된다면 업무에 혼선이 생길 수 있다는 게 그들의 속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은 지난 29일 열린 좌담회에서 "각 구 구청장과 추진단장으로 있는 부구청장, 또 보건소장들이 의원급 재택치료의 취지를 이해하고는 있다"며 "하지만 실행 단계에서 '현재 병원급 모델이 큰 문제없이 돌아가고 있으니 코로나 상황이 더 악화되면 그때 고려해 보겠다'고 해 안타까움이 생기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서초구보건소 우선옥 소장은 "보건소 입장에선 행정적인 애로사항이 있을 것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못하는 자치구가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위드코로나로 가게 되면 의원급이 확진자를 치료하는 역할을 또 해야 되고 이를 위해 지금부터 진료경험을 쌓아야 된다"고 강조했다.
위드코로나를 대비해 의원급 재택치료는 필수 불가결하다는 게 의료계의 중론.
위드코로나 시행 후 코로나19 확진자가 7000~8000명대로 뛰었을 당시, 일선 의료진이 적정 인원 3~4배의 재택치료자를 관리했던 만큼 기존 체계를 보완해야 된다는 것.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등장도 변수다.
이와 관련해 의료계 한 관계자는 "처음 시행하는 사업인 만큼 행정적, 법률적 문제가 있을 수는 있지만, 이는 정부 차원에서 대안을 제시해줘야 하는 사안"이라며 "하지만 정부는 이를 이유로 매뉴얼 작성 단계에만 머물러 있어 의원급 재택치료 참여 의료진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