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대학병원

서울시, 제2의 응당법 논란…"환자 무조건 받아라"

발행날짜: 2013-09-27 07:20:19

시의회, 조례 개정…의료계 강력 반발 "현실·상위법 무시"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지난해 응급실 당직전문의 제도, 일명 응당법 시행으로 홍역을 치렀던 응급의학과가 이번엔 서울시의회 조례안에 발끈하고 있다.

최근 서울시의회는 구급차량 이송환자를 병원이 거부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서울시 응급의료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앞으로 공포 후 시행만 남은 상태다.

조례안을 대표발의한 정승우 서울시의원은 "구급차량 이송환자를 병원이 거부하는 사례가 매년 늘어 살릴 수 있는 환자를 놓치고 있다"면서 "정당한 사유가 없이 환자를 거부할 수 없도록 조례안을 발의했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조례안을 통해 구급차로 이송된 응급환자를 정당한 사유없이 기피하거나 거부할 경우 복지부에 행정처분을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반대로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환자를 거부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정당한 사유'의 기준이 모호해 논란이 클 것이라는 게 의료진들의 우려다.

응급의학회는 "제2의 응당법"이라고 발끈하고 있다.

병원의 여건은 상관없이 무조건 환자를 받으라는 식이 응당법과 다를 바 없다는 얘기다.

게다가 응급의학과 의료진들은 상위법인 의료법과 응급의료법을 무시한 조례안이 시의회를 통과했다며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응급의학회 유인술 이사장은 "응급의료법에 따르면 구급차로 환자를 이송할 때 해당 병원에 연락해 환자 수용 능력을 파악하는 게 의무인데 이를 무시한 조례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응급환자 이송 전에 병원의 여건을 파악하는 것에 대해선 벌칙조항이 없다보니 99%의 구급차가 이를 지키고 있지 않은 실정"이라면서 "이 상태에서 조례안까지 통과됐으니 응급실은 더 난장판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정당한 이유없이 응급환자를 거부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이미 의료법에서도 규제하고 있는 내용인데 왜 이같이 조례안이 나왔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응급의학회는 특히 서울시의회가 일사천리로 조례안을 공포, 시행하면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유 이사장은 "이는 전국 응급실에 근무하는 의사를 잠재적 범죄자로 만드는 것"이라면서 "응급실은 자리가 비어 있어도 응급환자를 수술 중이거나 응급환자에 필요한 수술을 할 수 있는 전문의가 없으면 환자를 받을 수 없는 게 현실인데 무조건 받으라는 식은 곤란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산대병원 조석주 교수(응급의학과) 또한 "세계 어느 국가도 응급환자를 이송할 때 병원의 여건을 확인하지 않는 곳은 없다"면서 "해당 병원의 환자 수용능력도 묻지 않고 막무가내식으로 환자를 밀어넣는 것은 한국 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근본적인 문제는 응급환자 이송체계에 있는데 모든 책임을 병원과 의사에게 떠넘기려는 것"이라면서 "환자 이송 전에 어떤 병원이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지, 해당 환자에게 적절한 병원이 어디인지 확인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게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또 병원이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정당한 요건이 애매하기 때문에 이를 두고 구급대원과 병원간 갈등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응급의학과 의료진은 "말도 안되는 조례안"이라면서 "구급대원들은 법적인 의무를 무시한 채 무조건 응급환자를 밀어넣어도 되고, 의사들은 하위법인 시의회 조례안을 어겼다는 이유로 행정처분을 받는다면 누가 응급실을 지키겠느냐"고 토로했다.

한편, 응급의학회는 27일 이사회에서 의견을 취합해 조만간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 4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노예냐? 2013.09.27 14:36:36

    응급실은 빅5만 운영해라.
    나머지는 대책없다.

  • 너는 2013.09.27 09:45:48

    노환규 물러나라
    무능력자 노환규 당장 내려와라..가서 돈이나 벌어라. 사업해서 1234 13/09/27 [09:36]
    항소가 기각될 무보수 변호사 말고 더 비싼 변호인단 꾸려서 벌금형 이하로 낮추어야 하지 않나?
    닥플이 책임져야 옳지 않나?
    그때 당시 부고인지 그 기사 검색해서 나온 핸폰 번호 여러번 올린 그 자 왜 책임 안지나? ( 난 그 자가 누군지 목격했고 그 자는 며칠후 시끄러워지자 싹 흔적도 없이 지웠다. 그자는 유명고필이다. )
    그때 당시 닥플 운영자 누구인가? 그 자는 이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하지 않나?

    100만원, 200만원 벌금형은 엄청난 것이다. 전과기록은 어쩔수 없다고? 누구때문에 생긴 건데..그런 말도 안 되는,,
    무보수 항소? 벌금을 대신 내줘? 그게 책임을 다한 거라고 생각하나?



    그 이후 내부 의사들에게도 같은 형태도 계속 그런 일을 하도록 선동, 방치한 닥플이 이 사태를 책임 져야 옳다.


    아울러 벌금형을 받은 회원들에게 벌금을 물어준다면, 그건 의협 회장으로서가 아니라 닥플 소유주이자 실질적인 운영자로서 책임 지는 것입니다. 닥플 소유주로서 책임을 통감해야 정상이죠.


    절대 항소포기하지말고 자신들의 창창한 앞길을 위해 비싼 변호사를 써서라도 끝까지 가서 그 형량을 낮추어야 평생 후회하지 않으십니다. 안이한 무책임한 자들에게 그만 이용당하십시오. 그들은 형 받은 자들을 도구로 알지 책임져 주지 않습니다.

    그러니 전번 올리며 열심히 하라고 부추겼던 자는 쏙 빠지지 않았습니까? 이런데 언제 닥플 유명고필이 당하는 거 봤습니까? 그거 왜 그럴까요? 너무 이상하다는 생각은 안 드십니까?


    그 전에 박호진선생님이나 최근 박종훈선생님 등 건들도 마찬가지지만, 닥플에서 피해자들 신상 털고 전번 올리고... 그러면서 사실상 테러를 방조하지 않았습니까?

    마땅히 닥플 소유주로서 피해 회원들에게 사과하고 보상을 해야지, 회장입장에서 온 국민이 볼수 있는 그런 공간에서 전체 공개글에 그런 (실제 해당한 회원에게 그 벌금이 무슨 소용인가? 창창한 앞길을 오염시킨 그 전과기록을 어쩔건데? ) 글을 올려서는 안되지요...

    더구나 설령 벌금을 대납한다고 해도 전과가 평생 남는 것은 무엇으로 보상합니까?

    벌금대납? 겨우 1400만원이 그 8명의 앞길의 오염과 비교가 되고 보상이 됩니까? 그게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편리한 생각,,도저히 이해가 안 갑니다.

  • 하하하 2013.09.27 09:34:42

    하하 니네 의사들, 시키니까 다 하던데?
    궁시렁대기만 하고, 파업도 안 하고, 노예처럼 다 하던데?
    이번에도 해봐 호호호호호호

  • 의사는 2013.09.27 08:34:47

    법만 만들어 노면 무조건 해야하는
    제한적 의미( 사회적 정치적 ) 노예 신분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